문재인 대통령이 29일부터 닷새간 계획했던 하계휴가를 취소했다. 국내외 현안이 산적한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봤을 때 현시점에서 청와대를 비우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판단 때문으로 보인다.
유송화 춘추관장은 28일 기자들에게 문자를 보내 "문 대통령은 7월 29일부터 8월 2일까지 예정된 하계휴가를 취소하고 집무실에서 정상 근무한다"고 공지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직원들의 예정된 하계휴가에 영향이 없도록 하라"고 당부했다.
이에 따라 29일 정례 수석·보좌관 회의는 열리지 않는다고 유 관장은 전했다.
문 대통령이 이례적으로 여름휴가를 가지 않기로 한 것은 일본의 수출 규제조치,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 러시아의 독도 영공 침범 등은 물론 광주 클럽 구조물 붕괴 참변 등 국내외 현안이 산적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여름휴가 중 30일 복귀하는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다음 달 초 각의를 열어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제외하는 법령 개정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정부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특히 세계수영선수권대회 폐막을 하루 앞둔 전날 새벽 광주에서 발생한 붕괴 사고로 18명의 사상자(2명 사망)를 낸 것도 문 대통령에겐 적지 않은 부담이다. 휴가철 사고로 인한 인명 피해 자체도 큰 사안이지만 부상자 중에는 이번 대회에 참가한 외국인 선수 8명이 포함돼 있어 국제적으로도 문제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문 대통령은 작년과 재작년에는 모두 5일의 여름휴가를 다녀왔다. 지난해에는 충남 계룡대 등에서 지내면서 대전의 명소인 장태산 휴양림 산책 및 인근 군 주요시설을 시찰했고, 재작년엔 평창동계올림픽 홍보 차 평창에서 하루 묵은 뒤 경남 진해를 방문해 잠수함사령부를 방문하고 해군사관생도들을 격려한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