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中, 홍콩시위·무역갈등 격화에 '대미 강경론' 부상

"베이다이허 회의에서 대미 강경파가 주도권 잡은 듯"
中정부, 연일 美 겨냥 홍콩·무역 문제 강한 불만 표명

홍콩 시위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중국 정부에 반기를 드는 양상이 나타나고 미·중 무역 갈등도 해결 기미 없이 커져만 가자 중국이 미국을 향해 분노를 표출하며 강경한 자세로 변모하고 있다

12일 베이징 소식통 등에 따르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등 중국 지도부는 이달 초 중국의 전·현직 지도부가 중대 현안을 논의하는 베이다이허(北戴河) 회의에 참석해 장쩌민(江澤民) 전 국가주석 등 원로들과 만나 홍콩 문제,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향후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베이다이허 회의에서 대미 강경파가 정국 주도권을 잡은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회의 기간에 중국 정부는 외교부나 관영 매체 등을 총동원해 미국에 대한 강력한 불만과 분노를 표출하고 미국의 자제를 거듭 촉구하면서 반발 수위를 높이고 있다. 시 주석은 올해 초 미국과 원만한 무역 전쟁 타결을 위해 합의서 서명을 추진했으나 내부 강경파의 반발에 부딪혔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강력한 경제 압박을 가하면서 미·중 무역 전쟁이 재발해 갈등이 커지고 있다.

홍콩 사태 또한 범죄인 인도법(송환법)을 추진했다가 홍콩 시민들의 강력한 반발에 막혀 유보했으나 시위가 갈수록 격화하자 중국이 그 배후로 미국을 지목하면서 미·중 간 충돌의 요인으로 떠오르는 분위기다.

한 소식통은 "베이다이허 회의가 열리는 가운데 연이은 홍콩 및 미·중 무역 갈등 악재는 시진핑 주석의 입지를 약하게 만들고 중국 지도부 내 강경파와 원로들에게 힘을 주는 상황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내달부터 기존 25%의 관세를 부과해온 중국산 제품 2천500억 달러 외에 추가로 3천억 달러의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압박했고, 중국은 중국 기업의 미국산 농산물 구매 중단 방침을 밝히며 정면으로 충돌한 상황이다. 또한 미국이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하고 미국의 '중거리핵전력(INF) 조약' 폐기까지 겹치면서 사실상 미·중 패권 경쟁으로 확산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 무역 협상을 하고 있지만 합의할 준비가 돼 있지 않다면서 9월로 예정된 양국 간 고위급 무역 협상 취소 가능성까지 언급해 중국 지도부에 강경파가 득세할 경우 미·중 대립은 장기화할 수밖에 없다.

홍콩 사태에 대해서도 중국 정부는 외세 개입 때문에 폭력 시위가 발생하고 있다며 친 중국 성향 매체들을 통해 홍콩 주재 미국 영사가 홍콩 시위 주도자를 만난 사진을 공개하고 미국을 시위 배후 세력으로 지목하고 있다. 시위대와 중국정부가 맞서는 구도에서 미국과 중국이 홍콩 문제로 대결하는 것으로 국면이 바뀌고 있다. 김지석 선임기자 jiseok@imaeil.com·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