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분기 일자리 50만개 늘어… 절반 이상은 60대 이상 일자리

통계청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발표… 60대 이상 일자리 28만2천개 증가

통계청 제공.
통계청 제공.

지난 1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가 작년보다 50만3천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60대 이상 노인 일자리만 28만2천개 늘어났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 만든 노인 일자리인 것으로 분석된다.

26일 통계청의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 1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는 1천824만8천개로, 작년 동기보다 50만3천개(2.8%) 늘었다.

증가분은 2017년 2분기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래 가장 컸다.

연령별로 보면 60대 이상 임금 근로 일자리가 28만2천개 증가해 1분기에 늘어난 일자리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50대 일자리는 18만7천개 늘었고 20대 이하는 3만9천개, 30대는 1만5천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으며 40대 일자리는 오히려 2만개 감소했다.

60대 이상 연령층의 일자리가 많이 늘어난 것은 정부 재정 일자리 사업의 효과로 풀이된다.

60대 이상의 산업별 일자리 증감을 보면 보건·사회복지 일자리가 9만8천개 증가했고 공공행정 일자리도 2만5천개 늘었다.

재정 일자리 사업은 통상 보건·사회복지와 공공행정 분야로 분류된다.

시민단체와 노동조합 등을 아우르는 협회 및 단체,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분야 일자리도 3만3천개 증가했다.

반면 40대의 경우 건설업 일자리가 3만2천개, 제조업과 사업 임대는 각 2만5천개와 1만개 줄면서 전체 일자리가 2만개 감소했다.

기업 종류별로 보면 정부·비법인단체 일자리가 17만8천개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회사 이회 법인 일자리는 17만3천개 증가했고 회사법인은 10만3천개, 개인 기업체는 4만9천개의 일자리를 늘렸다.

올 1분기 일자리가 증가한 또 다른 원인으로는 고용보험 가입확대 정책과 온라인 쇼핑 증가 속 도소매업을 중심으로 한 일자리 증가가 꼽힌다.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은 고용보험 등 행정자료를 바탕으로 집계하기에 고용보험 가입자가 증가하면 일자리도 늘어나게 된다.

성별로 나누면 올 1분기에 여성 일자리가 36만7천개, 남성 일자리가 13만6천개 증가했다.

전체 일자리 가운데서는 남성이 58.6%, 여성이 41.4%로 여전히 남성 비중이 컸다.

산업별로는 보건·사회복지업에서 일자리 17만3천개가 증가했고, 도소매(8만6천개), 공공행정(7만3천개), 교육(5만1천개) 등에서도 일자리가 늘었다.

이에 비해 건설업 일자리가 5만6천개로 가장 크게 줄었고 사업·임대 일자리도 4만2천개 감소했다.

사업·임대 일자리는 사업시설관리, 조경서비스, 청소용역 등 사업지원 서비스를 아우르는 것이다.

정부의 직접고용 장려 정책으로 기존의 청소·조경용역이 해당 기업에 직접 고용되면서 사업·임대 일자리가 줄어들었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산업별 일자리를 중분류로 쪼개 들여다보면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13만개 늘었고 공공행정과 교육 일자리가 각각 7만3천개, 5만1천개 늘었다. 반면 전문직별 공사업은 5만4천개, 사업지원 서비스는 2만8천개 줄었다.

근로자가 지난해 1분기와 같은 자리를 지킨 지속일자리는 1천235만4천개로 전체의 67.7%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