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11월 부산에서 개최될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참석 여부를 놓고 말을 아끼고 있다.
청와대 주형철 경제보좌관은 6일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11월 부산에서 예정된 정상회의에서 한반도 평화경제 실현을 위해 아세안 10개 국과 심도있게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초청과 관련해서는 극도로 말을 아꼈다.
주 보좌관은 이날 "한반도의 지속 가능한 번영과 평화를 위해 한·아세안 간 협력 강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이번 특별정상회의에서 역내 평화와 안정에 함께 기여해 나갈 든든한 안보 우군으로 아세안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할 계획이며 우리의 한반도 평화경제 실현에도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김 위원장의 답방 추진 여부와 관련해서는 "이 사안에 대해 코멘트 하지 않겠다"고 밝힌 뒤,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도 "그냥 코멘트를 하지 않겠다"며 신중했다.
북미 비핵화 실무협상이 또다시 성과 없이 종료되면서 김 위원장의 답방을 언급하기엔 시기상 이르다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주 보좌관은 앞서 지난 8월에는 김 위원장의 답방과 관련해 "북미 관계의 진전에 달렸다"고 말한 바 있다.
주 보좌관은 이날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기대되는 주요 성과들을 신남방정책의 3대 축인 사람(People), 상생번영(Prosperity), 평화 (Peace)의 각 분야로 나눠 설명했다.
이번 특별정상회의에선 한반도 문제, 초국가 위협 공동대응 방안, 국방·방산협력 등도 함께 논의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