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시의회가 갖가지 내홍을 겪으면서 동료 시의원들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수의계약 특혜 의혹으로 공개사과 처분을 받은 김태근 시의회 의장(자유한국당)의 의장직 사퇴를 촉구하며 일부 시의원들이 임시회를 보이콧하는가하면, 제명 처분을 받은 시의원은 같은 당 소속 시의원들을 비난하며 제명 처분 의결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했다.
구미시의회 윤리특별위원회(이하 윤리위)는 지난달 27일 김택호·신문식(더불어민주당), 김태근·장세구(자유한국당) 시의원 등 4명을 징계(매일신문 9월 28일 자 5면)했다.
윤리위는 김택호 시의원을 제명하고, 김태근 의장에겐 '공개 사과', 신문식·장세구 시의원은 '경고' 등을 각각 결정했다.
김택호 시의원은 구미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 회의에서 근거 없는 공무원 성 알선 의혹을 제기하고, 시의원 간담회에서 시의원들의 발언을 몰래 녹음하다가 들키는 등 여러 차례 물의를 일으켜 윤리특위에 회부됐다.
김태근 의장은 자신의 아들에게 건설업체 대표이사 자리를 넘겨놓고 구미시로부터 수억원 어치의 공사를 수의계약으로 따낸 의혹을 받고 있다.
신문식·장세구 시의원은 지난 8월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 회의에서 인터넷 생방송 중 서로 욕설을 주고 받아 윤리특위에 회부됐다.
이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안장환·이선우·홍난이 시의원 등 3명은 수의계약 특혜 의혹으로 공개사과 처분을 받은 김태근 의장의 의장직 사퇴를 촉구하며 임시회를 보이콧했다.
이들은 이달 15일 구미시의회 제234회 임시회에서 개회 선언을 하려던 김 의장에게 사퇴를 요구하며 의장 불신임안을 제안한 뒤 회의장에서 퇴장했다.
이들은 "김 의장이 대주주인 건설사는 구미시 관급공사를 수의로 계약했다. 김 의장은 현행 법을 어긴 만큼 의장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명 처분을 받은 김택호 시의원은 당시 페이스북을 통해 '옛 노예제도가 있을 때 배고프면 자식도 노예로 팔았다. 이번에 6명이 저를 노예로 판 이유는 출세를 위해서인가, 이권을 위해서인가"라며 같은 당 시의원들을 강하게 비난했다.
아울러 대구지법에 제명처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과 제명처분 의결 무효확인 소송도 냈다. 법원이 가처분신청 등의 소송을 받아들이면 판결 전까지 김택호 시의원은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지역 시민단체들은 "시민들을 위해 일을 해야 할 시의원들이 의정활동은 뒷전인 채 동료 의원들 간 난투극을 벌이는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비난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