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소송·보이콧 '진흙탕 싸움'…구미시의회, 왜 이러나?

의장 사퇴 요구하며 임시회 보이콧, 제명 당한 시의원은 무효소송 제기

15일 열린 구미시의회 제234회 임시회에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의원 일부가 김태근 시의회 의장의 사퇴를 촉구하며 보이콧해 자리가 비어 있다. 구미시의회 제공
15일 열린 구미시의회 제234회 임시회에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의원 일부가 김태근 시의회 의장의 사퇴를 촉구하며 보이콧해 자리가 비어 있다. 구미시의회 제공

경북 구미시의회가 갖가지 내홍을 겪으면서 동료 시의원들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수의계약 특혜 의혹으로 공개사과 처분을 받은 김태근 시의회 의장(자유한국당)의 의장직 사퇴를 촉구하며 일부 시의원들이 임시회를 보이콧하는가하면, 제명 처분을 받은 시의원은 같은 당 소속 시의원들을 비난하며 제명 처분 의결 무효확인 소송을 제기했다.

구미시의회 윤리특별위원회(이하 윤리위)는 지난달 27일 김택호·신문식(더불어민주당), 김태근·장세구(자유한국당) 시의원 등 4명을 징계(매일신문 9월 28일 자 5면)했다.

윤리위는 김택호 시의원을 제명하고, 김태근 의장에겐 '공개 사과', 신문식·장세구 시의원은 '경고' 등을 각각 결정했다.

김택호 시의원은 구미시의회 기획행정위원회 회의에서 근거 없는 공무원 성 알선 의혹을 제기하고, 시의원 간담회에서 시의원들의 발언을 몰래 녹음하다가 들키는 등 여러 차례 물의를 일으켜 윤리특위에 회부됐다.

김태근 의장은 자신의 아들에게 건설업체 대표이사 자리를 넘겨놓고 구미시로부터 수억원 어치의 공사를 수의계약으로 따낸 의혹을 받고 있다.

신문식·장세구 시의원은 지난 8월 행정사무조사특별위원회 회의에서 인터넷 생방송 중 서로 욕설을 주고 받아 윤리특위에 회부됐다.

이와 관련해 더불어민주당 안장환·이선우·홍난이 시의원 등 3명은 수의계약 특혜 의혹으로 공개사과 처분을 받은 김태근 의장의 의장직 사퇴를 촉구하며 임시회를 보이콧했다.

이들은 이달 15일 구미시의회 제234회 임시회에서 개회 선언을 하려던 김 의장에게 사퇴를 요구하며 의장 불신임안을 제안한 뒤 회의장에서 퇴장했다.

이들은 "김 의장이 대주주인 건설사는 구미시 관급공사를 수의로 계약했다. 김 의장은 현행 법을 어긴 만큼 의장직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명 처분을 받은 김택호 시의원은 당시 페이스북을 통해 '옛 노예제도가 있을 때 배고프면 자식도 노예로 팔았다. 이번에 6명이 저를 노예로 판 이유는 출세를 위해서인가, 이권을 위해서인가"라며 같은 당 시의원들을 강하게 비난했다.

아울러 대구지법에 제명처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과 제명처분 의결 무효확인 소송도 냈다. 법원이 가처분신청 등의 소송을 받아들이면 판결 전까지 김택호 시의원은 의원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 지역 시민단체들은 "시민들을 위해 일을 해야 할 시의원들이 의정활동은 뒷전인 채 동료 의원들 간 난투극을 벌이는 볼썽사나운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비난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