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대 총선을 앞두고 자유한국당 내 '중진 물갈이론'이 확산되고 있다. 3선 이상 국회의원이라는 구체적인 대상까지 거론되면서 현실화 할 경우 당내 파장은 불가피해 보인다.
한국당 고위 관계자는 22일 "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에서 3선 이상 한 현역 의원에 대한 물갈이가 필요하다"며 "'텃밭'에서 쉽게 정치하려 하지 말고 당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험지'에 출마해 당세 확장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야 정치신인이 설 자리가 생기고, 나아가 당의 인적 자원이 풍부해진다. 국민이 한국당에 원하는 것은 진정성 있는 혁신"이라고 강조했다.
현역 중진 의원에 대한 '물갈이' 여론은 당 안팎에서 꾸준히 제기돼 왔지만 '3선 이상', '당 지지세가 강한 지역' 등 구체적 조건까지 거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를 기준으로 하면 역대 선거에서 한국당이 강세를 보였던 대구경북(TK)과 부산·경남·울산 등 영남권 3선 이상 중진 의원이 주요 물갈이 대상이 된다.
TK에선 주호영·강석호·김광림·김재원 의원 등 20명 가운데 4명이 해당되고 PK에선 김무성·김정훈·유기준 의원 등 11명(총 40명)이 해당한다.
이 때문에 현실화 할 경우 적지 않은 파장이 예상된다.
영남권 한 3선 의원은 "영남이라고 모두 당 지지세가 강한가. 저쪽(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강한 지역 등 험지 중 험지로 꼽히는 곳도 있다"며 "설익은 공천안만 무책임하게 내놓을 게 아니라 지금은 당을 안정시키고 총선에서 승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반발했다.
이에 대해 황교안 대표의 한 측근도 "문재인 독재를 막기 위한 활동에 매진하고 있어 공천 작업이 속도를 못 내고 있는 상황"이라며 "그런 보고를 정식으로 받아 본 적도 없고 논의된 바 없어 희망 섞인 아이디어 차원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국당은 이에 앞서 신상진 당 신(新)정치혁신특별위원장이 현역 의원의 절반 이상을 물갈이해야 한다고 주장해 한바탕 홍역을 치른 바 있다.
아직 한국당은 본격적인 공천룰 논의에 들어가지 않은 상태이고 신정치혁신특위가 청년·여성 후보자에게 30% 공천 가산점을 부여하는 혁신안 등을 지도부에 보고했지만 최종 반영 여부 발표는 미루고 있는 상황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