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에 대해 총사퇴 수준의 대대적 혁신이 요구되고 있는 가운데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18일 "내년 총선까지는 당을 이끌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대대적 혁신 요구에 대해 일단 선을 긋고 나선 것이다. 그러나 당 안팎에서는 "이대로는 안된다"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어 황 대표의 고민도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황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다음 총선에서 반드시 승리하도록 진력하겠다. 만일 이번 총선에서도 우리가 국민들에게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다면 저부터 책임지고 물러나겠다. 반드시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도록 하겠다"고 강조, 자신을 중심으로 한 총선 체제로 가겠다는 뜻을 분명히했다.
그러나 황 대표는 김세연·김성찬 의원의 최근 불출마 선언을 인식한 듯 "당 쇄신은 국민적 요구이다. 반드시 이뤄내야 할 시대적 소명이다. 확실하게 그리고 과감하게 쇄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혁신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을 드러낸 것이다. 황 대표는 또 "당 쇄신 방안에 대해 숙고하면서 폭넓게 국민 의견을 수렴하고 있고, 다양한 의견들을 적극적으로 받들 것"이라고도 했다.
황 대표의 이날 발언은 당 내부에서 분출하는 쇄신 요구에 화답하면서도, 내년 총선까지 당을 이끌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하지만 '당 해체', '지도부를 비롯한 의원 총사퇴' 등 전날 김세연 의원의 요구에 대해서는 거부의 뜻을 분명히 밝힌 셈이다.
황 대표는 한일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파기 위기 등과 관련, "문재인 대통령에게 제안한다. 현재의 위기 상황 극복을 논의하기 위한 대통령과의 회담을 제의한다. 곧바로 회답해 주시기 바란다"고 요구했다. 국민들에게 위기를 전파하는 동시에 현 상황 타개를 위해 제1야당 대표가 자리를 지켜야만 한다는 뜻을 강조한 것으로 읽힌다.
황 대표와 함께 동시 퇴진 대상으로 지목된 바 있는 나경원 원내대표도 이날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저지가 한국당의 역사적 책무이며 그 책무를 다하는 게 저의 소명"이라고 말했다. 패스트트랙 등 현안이 있는데 지금 물러날 수는 없다는 취지로 관측된다.
한편 한국당 중진 의원들 대다수도 김세연 의원의 '충정'은 이해한다면서도 그가 주장한 '총사퇴'나 불출마 요구에는 "현실성이 없다", "몽상 같은 얘기"라며 차가운 반응을 보
이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