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겨울철 평균기온은 평년과 비슷하겠지만 기후 변동성이 클 것이라는 기상청 전망에 따라 갑작스럽게 찾아올 추위에 따른 '한랭 질환' 발생에 철저히 대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초겨울에는 신체가 추위에 적응이 덜된 탓에 약한 추위에도 한랭 질환 위험이 크므로 12월 첫 추위와 기습 추위에 각별하게 주의해야 한다.
추위가 직접 원인이 돼 나타나는 한랭 질환은 저체온증, 동상, 동창이 대표적인데, 미흡하게 대처하면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도 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2018년 12월부터 2019년 2월 말까지 한랭 질환 응급실 감시체계를 가동한 결과, 한랭 질환자 수는 404명이었고 이 중 10명이 숨졌다.
한랭 질환자는 65세 이상 노년층이 전체 환자의 44%인 177명으로 가장 많았다. 고령일수록 저체온증 같은 중증 한랭 질환자가 많았다. 발생 장소는 길가나 집주변 같은 실외가 312명(77%)으로 많았다.
발생 시간은 하루 중 지속해서 발생했는데, 특히 추위에 장시간 노출되고 기온이 급감하는 새벽·아침(0시~9시)에도 163명(40%)의 환자가 생겼다. 한랭 질환자 138명(34%)은 음주 상태였다.
또한 고혈압 환자는 한파에 노출된 채로 장시간 야외에서 활동하는 경우 혈압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혈압은 기온이 1도 내려갈 때마다 수축기 혈압은 1.3mmHg, 이완기 혈압은 0.6mmHg 상승하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한파에 체온 관리에 신경써야 한다.
이형화 척탑병원 내과과장은 "겨울철 아침에는 혈관 수축이 활발해져 혈압 상승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어 동맥경화, 뇌졸중, 심근경색, 협심증 등 생명에 치명적인 합병증을 불러올 위험성이 있다"면서 "위험 신호나 증상이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아 무시하고 지나가기 쉬워 평소에 관리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다음은 질병관리본부가 조언하는 '한파 대비 일반 건강수칙'
▷가벼운 실내운동, 적절한 수분 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합니다.
▷실내는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합니다.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 장갑·목도리·모자·마스크로 따뜻하게 입습니다
▷어르신과 어린이는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상시와 외출 시에 보온에 신경 쓰세요.
▷만성질환자(심뇌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는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상승하고 증상이 악화해 겨울이 시작할 때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하세요.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한파에는 과음을 피하세요.
▷노인, 영유아, 퇴행성관절염 같은 만성질환자는 빙판길, 경사지거나 불규칙한 면, 계단을 피해 가급적 평지나 승강기를 이용하고, 장갑을 착용해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활동합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