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리 내린 울 밑의 황국화는 소설(小雪)이 지났건만 아직도 절개를 지키려는 듯 꽃이 향기롭다. 서정주의 '국화 옆에서' 시를 읊조려 본다. 이성계에게 나라를 뺏긴 고려 말의 충신 이곡(李穀)은 정신적으로 기댈 곳 없을 때 찬 기운에 핀 국화로부터 위로를 받았다고 한다. 계절은 낮이 짧고 밤이 긴 동지로 달린다. 해가 늦게 뜨고 일찍 진다. 자연도 사람도 휴식이 길어지며 기운을 얻는다. 농부들은 가을 추수를 곳간에 쌓아두고 안정과 여유를 찾는다. 낮보다 밤이 긴 시간 속에 가족을 살피며 내면이 충만하다.
'세상의 모든 것은 한쪽으로 무한정 가도록 내버려 두지 않는다.
달도 차면 기울게 하고 기울기가 극에 달하면 다시 차오르도록 한다.
올라가면 내려가야 하고 내려가면 올라가야 한다.
잘 간다고 경거망동하지 말고 못 간다고 기죽지 말아야 한다.
늘 그대로 변하지 않고 영원히 존재하는 것은 없다.
세상의 모든 것은 고정되어 있지 않고 끊임없이 움직이고 변한다.'
내가 다니는 보이찻집 주인이 며칠 전 이사를 했다. 수십 년을 고민하다가 거처를 옮겼다. 남들은 시골에서 대구로 나오는데 이분은 반대로 시골로 갔다. 집 앞 둥근 연못을 바라보며 나지막한 뒷산을 배경으로 터를 닦고 축대를 쌓고 집을 새로 지었다. 산 공기와 마시는 차와 커피가 훨씬 맛있다고 했다. 수돗물을 계곡물에 견줄 수 없듯이, 도시의 탁한 공기가 시골의 맑은 공기를 따라갈 수 없듯이 더 맑은 산과 물 그리고 공기를 찾아 숲을 찾는다. 산이나 들이나 바닷가에서 마시는 음료나 음식은 집 안에서 먹을 때보다 더욱 맛이 있다. 자연에서 맑은 산소와 햇볕이 음식과 같이할 때 몸이 활성화되므로 침샘을 자극해 맛을 돋운다.
조선 중기의 문신 송순은 이렇게 읊었다.
'십 년을 경영하여 초려삼간(草廬三間) 지어내니
나 한 칸 달 한 칸에 청풍(淸風) 한 칸 맡겨두고
강산(江山)은 들일 데 없으니 둘러두고 보리라.'
초가집 한 채 지어놓고 세상을 다 들여놓았다. 내가 묵을 방 한 칸, 달이 들어올 방 한 칸, 청풍명월(淸風明月) 방 한 칸, 모두 가까이 불러들여 벗할 수 있게 되었으니 자기 자신은 남들이 보는 것처럼 쓸쓸하거나 외롭지 않다.
더 들여놓을 데 없는 강산(江山)은 집 밖에 병풍처럼 둘러놓고 보니 남부러운 것 없는 집이다. 20년을 경영하여 왜관 금남리로 떠난 라온커피, 보이찻집 주인과 성향이 비슷하려나?
금강경 야부송에 이런 말이 나온다.
'竹密不防流水過(죽밀불방류수과) 대나무가 아무리 빽빽해도 흐르는 물을 막을 수 없고
山高豈碍白雲飛(산고기애백운비) 산이 아무리 높다 해도 떠가는 구름을 막을 수 없다.'
인생과 자연은 물과 구름처럼 막을 수 없다. 우리가 사는 집은 초려삼간보다 크고 화려하니 위로받고 이 정권이 하수상하여도 자꾸만 자살하거나 실망하지 말고 어떤 역경이라도 뚫고 가야 한다. 그것이 우리네 삶의 흐름이다. 어제의 결과는 오늘에 있고 오늘의 결과는 내일에 있다. 오늘을 성실히 보내야 내일을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이 자연의 진리이다.
"산은 커다란 생명체요, 시들지 않는 영원한 품속이다. 산에는 꽃이 피고 꽃이 지는 일만이 아니라 거기에는 시가 있고 음악이 있고 종교가 있다. 인류의 위대한 사상이나 종교가 시멘트로 된 교실이 아니라 때 묻지 않은 자연의 숲속에서 움텄다는 사실을 우리는 상기할 필요가 있다." 법정 스님의 말씀이다.
맑은 산 공기와 청풍명월 가득한 시골집에서 탈속(脫俗)한 풍류를 그리는 그분을 보고 싶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