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작년 일자리 26만개↑…60대 이상이 25만개 늘었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3040 일자리 각각 8만, 5만개 줄어든 반면 50대 이상 장노년층 중심으로 늘어

통계청이 5일 공개한
통계청이 5일 공개한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보고서를 보면 30·40대 일자리는 13만개 줄고 50대 이상 일자리는 39만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지난해 일자리가 1년 전보다 26만개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경제 허리 역할을 하는 30·40대 일자리는 줄고 60대 이상 일자리만 큰 폭으로 늘었다. 5인 미만 기업 일자리는 24만개 급감했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일자리는 2천342만개로 전년 대비 26만개 늘었다. 이 가운데 30대 일자리는 총 517만개로 전년 대비 8만개, 40대 일자리는 606만개로 5만개 줄었다.

반면 60대 일자리는 정부 정책에 힘입어 크게 증가했다. 지난해 60대 이상 일자리는 323만개로 1년 새 25만개 늘었고, 50대 일자리는 14만개 늘어난 545만개를 기록했다.

20대는 2만개 늘어난 332만개에 그쳐 증가폭이 작았다. 전체 일자리 증가 대부분을 50대 이상 장·노년층 일자리가 책임진 셈이다. 자연스레 지난해 근로자 평균 연령도 45.3세로, 전년 대비 0.4세 높아졌다.

일자리 증감을 기업 규모별로 보면 대기업 일자리는 7만개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중소기업 일자리는 16만개 늘었다. 대기업의 경우 새로 생긴 일자리가 24만개에 달했지만 없어진 일자리도 17만개나 됐다.

종사자 규모별로 보면 일자리는 300명 이상 기업에서 14만개 늘었고, 50∼300명 미만 기업에서는 10만개, 50명 미만 기업에서는 2만개가 각각 증가했다. 1∼4명 기업 일자리는 신규일자리(122만개)보다 소멸일자리(146만개)가 많아 24만개 급감했다. 5인 미만 기업에서 일자리가 감소한 것은 최저임금 인상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산업별로는 제조업과 서비스업의 희비가 엇갈렸다. 지난해 도소매업과 부동산업 일자리가 7만개씩 늘었고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4만개), 숙박 및 음식점업(4만개) 등이 뒤를 이었다. 그러나 제조업과 건설업 등에서는 각각 6만개와 3만개가 줄었다.

일자리행정통계에서 집계한 일자리는 근로자가 점유한 고용 위치를 의미하는 것이라서 취업자와는 구분된다. 예를 들어 김 모 씨가 낮에는 회사에 다니면서 밤에는 학원 강사로 일하면 취업자는 1명이지만 일자리는 복수로 계산될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