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전이 딱 2년만에 열린다.
18일 오후 7시 30분부터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2019 EAFF E-1 챔피언십(구 동아시안컵) 남자부 대한민국 대 일본의 경기가 진행된다.
한국, 일본, 중국, 홍콩이 참가하고 있는 이 대회에서 현재 2승을 기록 중인 한국과 일본이 우승을 결정 짓는 경기이다.
다만 똑같이 2승이긴한데, 한국이 골득실 +3인 반면(홍콩에 2대0 승, 중국에 1대0 승), 일본은 골득실이 +6이라서(중국에 2대1 승, 홍콩에 5대0 승), 한국은 반드시 이겨야하고, 일본은 최소 비겨도 우승한다.
이번 대회가 한국 홈에서 열리는 이점을 벤투호가 잘 활용해야 하는 부분.
그러면서 과거 한국과 일본의 축구 역대전적에도 관심이 향한다.
1954년을 시작으로 참 많이 붙었다. 78전 41승 23무 14패로 한국이 우세하다.
최근 10년 전적은 어떨까? 2010년 2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동아시안컵 경기에서 3대1로 승리한 것을 시작으로, 2017년 12월 역시 도쿄에서 진행된 EAFF E-1 챔피언십 경기에서 4대1로 이긴 것까지. 8전 3승 3무 2패이다.
이 3무 가운데 1무는 승부차기 패(2011년 AFC 아시안컵 준결승)이기 때문에, 사실상 8전 3승 2무 3패라고도 볼 수 있다.
역대 전적 전체와 비교하면 호각지세인 것.
▶2010년 2월 14일 일본 도쿄
동아시아 축구선수권대회 3 : 1 승
이동국, 이승렬, 김재성
▶2010년 5월 24일 일본 사이타마
친선전 2 : 0 승
박지성, 박주영
▶2010년 10월 12일 대한민국 서울
친선전 0 : 0 무
▶2011년 1월 25일 카타르 도하
AFC 아시안컵 준결승 2 : 2 무 (승부차기 0대3 패)
기성용, 황재원
▶2011년 8월 10일 일본 삿포로
친선전 0 : 3 패
▶2013년 7월 28일 대한민국 서울
EAFF 동아시안컵 1 : 2 패
윤일록
▶2015년 8월 5일 중국 우한
EAFF 동아시안컵 1 : 1 무
장현수
▶2017년 12월 16일 일본 도쿄
EAFF E-1 챔피언십 4 : 1 승
김신욱(2골), 정우영, 염기훈
그런데 이 호각 구도의 '디테일'은 점점 불안정해지는 모습이다. 다시 말하면, 양국 축구가 전력이 들쑥날쑥했던 50~80년대를 지나 제법 수준을 안정적으로 다진 시기인 9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를 살펴보면, 무승부 및 1골 또는 2골 차 승부만 났고, 3골 차 이상 승부가 난 적은 없다.
그러나 2010년대 들어 앞서 언급한 것처럼 4대1로 이기기도 하고, 0대3으로 지기도 하는 등 점점 스코어를 예측하기 어려워졌다는 분석이다.
한편, 이번 한일전 중계는 SPOTV NOW와 MBN에서 맡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