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국당 불출마 릴레이…지도부 책임론 거세져

위기의식 확산…지도부 총사퇴, 비대위 전환요구

불출마 선언을 한 여상규 의원(왼쪽)과 한선교 의원. 연합뉴스
불출마 선언을 한 여상규 의원(왼쪽)과 한선교 의원.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의원들의 불출마 선언이 이어지면서 지도부에 대한 책임론도 거세지고 있다.

한국당 4선 한선교 의원과 3선 여상규 의원은 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불출마를 선언했다. 재선 김도읍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한 지 이틀 만이다.

한 의원은 "저의 이 작은 결심이 국민 여러분들의 변화 요구에 조금이나마 답을 하는 모습이면 좋겠다"고 말했다.

판사 출신인 여 의원은 불출마를 밝히며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올라 강행 처리되는 과정에서 당 지도부가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했다고 비판했다.

여 의원은 "당 지도부가 가진 것을 모두 내려놔야 한다"며 "황 대표든, 심재철 원내대표든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이은 불출마 선언으로지도부 책임론이 불거지자 비상대책위원회에 대한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

홍준표 전 대표는 지난달 31일 페이스북에서 패스트트랙 법안 저지에 실패한 것을 두고 "지도부 총사퇴하고, 통합 비대위나 구성하라"고 촉구했다. 여 의원도 "당연히 비대위 체제가 상정될 수 있다"고 말했다.

황 대표 체제의 한국당이 '극우'와 대여 강경투쟁으로 일관한다는 목소리는 지난달 '태극기 부대'의 국회 난입 사건을 계기로 한층 커졌다. "한국당이 전광훈 목사의 2중대로 전락했다"는 비판이 제기된 것이다.

'투톱'인 심재철 원내대표에 대해서도 책임론이 제기된다. 패스트트랙 법안들을 저지하는 과정에서 온갖 방법을 동원했지만, 번번이 무위로 돌아갔다는 점에서다.

황 대표만 물러날 경우 심 원내대표가 대표 권한대행으로서 비대위원장을 영입해야 하는 데 대한 반발도 밑바탕에 깔려있다.

한국당은 새누리당 시절 정진석·정우택 원내대표가 각각 김희옥·인명진 비대위를 꾸렸으며, 한국당으로 간판을 바꿔 달고 나선 김성태 원내대표가 김병준 비대위를 구성한 바 있다.

황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자신을 향한 책임론과 비대위 구성 요구에 대해 "그런 부분에 관해서도 큰 틀에서 검토들이 필요하다. 뭐가 나라 살리는 길인가에 대해서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보였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