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벽두 보수 야권이 통합의 애드벌룬을 띄우고 있는 가운데, 자유한국당은 2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에서 재입당을 희망하는 인사에 대한 복당(復黨)을 전면 허용하기로 했다. 보수대통합 설계의 일환이다.
여기에 한동안 정치 일선을 떠났던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가 정계 복귀를 선언하면서 정치권이 출렁이고 있다. 안 전 대표의 귀환이 자유한국당과 창당 절차를 밟고 있는 새로운보수당의 '보수대통합' 행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당은 ▷탈당 인사, 무소속 후보 등으로 선거에 출마한 인사 ▷입당 보류 및 계류된 인사 ▷입당 관련 이의신청 제기한 인사 등 다양한 사유로 입당이 불허돼 복당을 희망하는 모든 인사에 대해 중앙당 및 시도당 당원자격심사위원회와 최고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10일까지 재입당 절차를 완료할 계획이다.
이런 상황에서 안 전 대표도 이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제 돌아가서 어떻게 정치를 바꾸어야 할지, 어떻게 대한민국이 미래로 가야 하는지에 대해 상의 드리겠다"며 정계 복귀 결심을 알렸다. 안 전 대표는 이르면 이번 주말쯤 귀국할 것으로 알려졌다. 2018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패배하고 유학길에 오른 지 1년 3개월 만이다.
21대 총선을 3개월 앞둔 상황에서 이 같은 움직임은 야권발 정계개편 속도를 더욱 가속화할 공산이 크다.
전날 황교안 한국당 대표와 유승민 새로운보수당 인재영입위원장이 보수 통합의 필요성을 강조했고, '정권 심판'을 위해 중도층 확장이 절실한 보수 야권에서 중도·실용 정치를 강조해온 안 전 대표를 향한 러브콜이 쇄도할 것이 자명하기 때문.
이미 황 대표는 안철수계 의원들과의 접촉 여부에 대해 "헌법 가치를 존중하는 모든 정치세력과 열린 마음으로 대화를 시도하고 있다"며 부인하지 않았고, 하태경 새로운보수당 창당준비위원장도 "안 전 대표가 추구했던 새 정치의 가치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손을 내밀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