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자영업자 대출이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늘어나는 가운데 특히 영세자영업자의 대출 건전성이 빠르게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0일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에 따르면 작년 6월 말 현재 대구경북 자영업자 대출은 59조7천억원으로 6개월 만에 1조9천억원이 늘었다. 대구는 38조1천억원으로 6천억원, 경북은 21조6천억원으로 1조3천억원이 각각 늘었다.
이 가운데 은행권 대출이 61.9%(37조원), 비은행권은 38.1%(22조7천억원)이며, 비은행권 대출은 2015년 28.5%에서 지난해 6월 말 38.1%까지 가파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을 받은 자영업자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부동산임대업(29.9%), 제조업(18.6%), 도소매업(14.1%), 음식·숙박업(9.6%) 순이다.
대출 유형으로는 부동산담보대출이 40.3%(24조원), 나머지는 신용대출·할부·리스·카드론 등이었다.
이 중 가장 문제로 지적된 것은 저소득·저신용·장기연체가 높은 영세소득자들의 대출이다.
자영업자의 소득 대비 대출비율(LTI)로 따져봤을 때, 지난해 6월 말 현재 대구의 LTI는 911%로 비수도권 가운데 최고 수준으로 분석됐다. 소득구간별로는 저소득층(1천380.9%), 고소득층(909.1%), 중소득층(430.8%)순으로 나타나, 특히 저소득층의 채무상환능력이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구경북지역 자영업자 가운데 장기연체대출(90일 이상) 비중도 2017년 이후 증가 추세다. 그 중에서도 저신용 자영업자의 장기연체 증가폭이 2017년 말 11%에서 지난해 6월 16%까지 급증했다. 장기연체대출은 금융권보다는 단위조합이나 새마을금고, 신협 등 제2금융권에서 상대적으로 증가폭이 컸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는 지역 경기 부진이 장기화하거나 유통업 등의 온라인화가 계속될 경우 한계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대출 건전성이 악화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했다.
분석을 맡았던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임종혁 기획금융팀 과장은 "지역의 경우 고소득·고신용 자영업자의 대출 비중이 높아 전반적인 건전성은 양호하지만, 영세 자영업자와 비은행권의 대출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금융회사는 대출 심사 시 국세청과 카드사 데이터 등을 적극 활용해 상환 가능성을 보다 면밀히 평가할 필요가 있고, 한계 자영업자에 대한 연체상황별 채무조정방안을 통해 점진적으로 부채 규모를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