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의료 서비스 확대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은 의사와 한의사 집단 간의 견해 차이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의료진흥원이 전문가 그룹, 관련 학계, 병원 종사자 등을 대상으로 '통합의료 정착에 따른 장애 요인'에 대해 몇 차례 설문조사를 하고 분석한 결과다.
거시적 요인으로는 '의학계와 한의학계의 갈등과 공동노력 미흡'이 '정부의 의지 부재 및 법·제도체계 미비'보다 중요한 장애 요인으로 파악됐다.
병원 내 의료적 문제를 다룬 미시적 요소로는 '의사 한의사 간 의사소통 문제' '의료사고 시 책임소재의 구분' '의사 한의사 간 주치의 결정 어려움'을 꼽았다.
반면에 '수익분배 어려움'이나 '의료기사, 약사에 대한 지시 체계 혼선' 등의 문제는 상대적으로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의료법과 같은 제도의 문제에서는 '의사 한의사 간의 검사 처방권한'이 중요한 장애요인이었고, 보험 급여 및 행정 분야에서는 '양·한방 중복진료 불인정'과 '통합의료서비스 수가 부재'의 문제가 장벽으로 조사됐다.
이에 비해 '의료비용 청구와 심사의 불편'과 '진료비 명세서, 진료기록지 등의 행정서식 차이'는 상대적으로 문제의 중요성이 크지 않았다.
통합의료진흥원 관계자는 "의, 한 양쪽 집단이 '한의학의 과학적 설명과 객관화' '양·한방간 질병명, 진단명 표준화'에 대해 자구 노력이 필요하고, 의학계에서는 '상대방 학문 교과과정 개설'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양·한방 중복진료 불인정에 대해 통합의료진흥원 측은 "현재의 협진 개념에서는 수가를 산정할 수 없으므로 만성질환관리료와 비슷한 개념으로 별도의 수가항목을 등재하는 것이 현실적"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의학, 한의학계가 통합의료의 필요성에 대해 정부의 이해와 설득을 구하는 방향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풀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