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바이오산업 분야 인적, 물적 자원이 수도권에 집중돼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복합단지(대경첨복단지) 등 지방 바이오클러스터 경쟁력이 약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병원 유치 및 연구결과 사업화 지원, 기업투자 활성화 등 후속 조치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30일 '미국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 성공요인과 시사점' 자료를 발표했다. 한경연은 업계에서 세계 최고로 꼽히는 보스턴 바이오클러스터의 성공요인으로 대형병원, 대학 등 바이오 산업주체가 밀집했고 기업투자도 활발한 점을 꼽았다.
국내 바이오클러스터 7곳을 조사한 결과, 바이오산업 박사 학위자의 62.6%, 기업의 55.9%, 일자리의 54.9%가 수도권에 집중된 걸로 나타났다.
연구중심병원 중 10개 중 9개가 수도권에, 병상 1천개 이상 대형병원을 갖춘 클러스터도 11곳 중 10곳이 수도권에 있었다.
대경첨복단지는 유일한 지방 연구중심병원인 경북대병원과 연계된 장점이 있으나 단지 내 대형병원이 없고 기업과 인적자원도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바이오산업 박사학위자가 17명으로 국내 바이오클러스터 7개 단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0.7%에 그쳤고, 기업은 22개로 2.2%, 일자리종사자는 1천651명으로 3.7%에 그쳤다.
한경연 관계자는 "수도권에 집중된 연구중심병원을 지방에 육성하고 클러스터와 연계를 강화해야 한다. 또 병원, 대학, 기업의 협력을 강화하고 벤처 캐피탈 등 민간 투자가 활발히 이뤄지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우선 60병상 규모 임상전문병원인 '첨단임상시험센터'가 2022년쯤 첨복단지에 개원할 예정"이라며 "향후 원활한 연구개발은 물론 임상 비용 절감을 통해 기업유치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