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신종 코로나 2번째 확진자 상태 호전…퇴원 검토

국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7,8,9,10,11번째 확진자가 발생한 31일 오후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서 의료진이 감염 환자 이송에 사용되는 음압이송카트를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국내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7,8,9,10,11번째 확진자가 발생한 31일 오후 서울 중랑구 서울의료원에서 의료진이 감염 환자 이송에 사용되는 음압이송카트를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24일 국내에서 2번째로 확진 판정을 받은 55살 한국인 남성이 퇴원을 검토할 만큼 상태가 호전된 것으로 알려졌다. 첫 확진자인 35살 중국인 여성도 안정적으로 일상생활을 할 만큼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3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어 "두번째 환자는 현재 폐렴 증상도 호전되고 각종 검사(결과)도 많이 좋아져 항바이러스제 투여는 중지하고 모니터링 중"이라고 밝혔다. 이 환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자증폭(PCR) 검사에서도 '음성'으로 확인됐다. 첫번째 환자 역시 폐렴 소견이 거의 사라진 상태다. 중대본은 나머지 확진환자들의 상태도 전반적으로 안정적이라고 밝혔다.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은 "2번째 확진자의 치료에 다양한 방법이 시도됐던 만큼 어떤 치료가 주효했는지 단언할 수 없다"고 했다. 다만, 이 환자에게 에이즈(HIV) 치료제는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 원장은 "HIV 치료제를 쓰긴 했지만 HIV 치료제가 (신종코로나에) 맞느냐에 대해서는 아직 근거가 축적된 게 아니다"라며 "치료법은 환자를 담당하는 병원마다 다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중대본은 확진자가 폐렴 등 임상 증상이 좋아지고 24시간 간격으로 유전자증폭 검사를 해 두번 음성이 나오면 퇴원하는 것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정은경 본부장은 다만 "이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지 아니면 그사이에 바뀐 지식을 반영해서 (퇴원 기준을) 적용할지 전문가들로부터 검토를 받아 퇴원 여부와 일정을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2번째 확진자는 중국 우한에서 근무하다 지난달 22일 입국한 55세 한국인 남성이다. 입국 시 검역 과정에서 능동감시 대상자로 분류돼 보건당국의 모니터링을 받았다. 같은 달 23일 보건소 선별진료소의 진료를 받고 24일 확진돼 국립중앙의료원으로 격리됐다.

이날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확진자 15명은 대부분 초기에 발견됐다. 이들은 기침으로 시작해 폐렴으로 진행되는 특징을 보였고, 엑스선상에 나타나는 폐렴 중증도에 견줘 더 약하게 증상을 호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새로 확진환자는 발견되지 않았다. 중대본은 이날 오전까지 490명의 조사 대상 유증상자에 대해 진단 검사를 했으며, 414명이 검사 결과 음성이 나와 격리 해제됐다고 밝혔다. 61명은 검사를 받고 있는 중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