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코로나19]"공적마스크 구매 실명제 도입해야".

약국 처방조제시스템 활용하면 중복 구매 제한 가능

2일 오전 봉무동 우체국 앞에 수백여 명의 시민들이 코로나19 예방용 마스크를 사기 위해 줄지어 서 있다. 이날 오전 11시에 마스크 1천250장이 순식간에 판매됐지만 주민들은 이른 아침부터 줄을 섰다며 불만이 가득했다. 한 시민은
2일 오전 봉무동 우체국 앞에 수백여 명의 시민들이 코로나19 예방용 마스크를 사기 위해 줄지어 서 있다. 이날 오전 11시에 마스크 1천250장이 순식간에 판매됐지만 주민들은 이른 아침부터 줄을 섰다며 불만이 가득했다. 한 시민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연일 마스크 대란이 빚어지는 가운데 정부가 '공적 마스크 구매 실명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매일 소량씩 풀리는 마스크를 한 장이라도 더 사려고 이른 아침부터 장시간 줄을 서는 불편을 막고, 더 많은 이들에게 고루 혜택이 가도록 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다.

경북 문경시 한 약사는 지난 1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을 통해 "약국의 경우 내부시스템인 DUR(처방조제시스템)을 통해 전국 점포 간 전산망이 연결돼 있다"며 "여기에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해 특정인의 구매 물량을 제한하고, 공급된 물량을 사적으로 빼돌린 게 없는지 통제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DUR은 의약품 안전성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해 중복처방이나 부적절한 약물사용을 사전에 점검할 수 있도록 구축된 시스템이다.

대구 중구 한 약사도 "공무원이나 통장들이 집집마다 매일 마스크를 나눠주는 것도 한계가 있다. 품귀현상을 빚는 마스크 수급이 안정화될 때까지라도 약국 DUR을 통한 구매제한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시민들도 '공평한 분배'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거세다.

2일 오전 대구 북구 고성우체국 앞에서 마스크를 구매하지 못한 A(73) 씨는 "사는 사람은 맨날 가져가고 나이 든 노인들은 제시간에 맞춰와도 마스크를 못산다"며 "쏠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나라가 방법을 찾아줘야할 것 아니냐"고 분노했다.

번호표 배부 방식도 묘안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B(68) 씨는 "번호표를 나눠주니까 중복해 받아가는 사람도 있었다.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마스크 판매처를 편의점까지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지만 역시 실효성이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현재 문제 해결방안은 구매처 확대가 아니라 공급 부족 해소에 방점이 찍여야 한다"고 했다.

현재 정부는 전국 2만4천여곳의 약국에 하루 240만장의 마스크를 공급하고 있지만 점포 1곳 당 하루 20명 남짓(100매 정도)에게 밖에 돌아가지 않아 몇 분 만에 품절되는 사태가 반복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