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가 대구경북에서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관련 당국의 방역활동과 안내문자 활용이 부적절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정된 자원을 상황에 맞게 적재적소에 활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대구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A(31) 씨는 이달 2일 지역 보건소로부터 '코로나19 확진자가 지난달 20일 약국에 들렀다'는 통보를 받았다. 보건소는 A씨에게 3일 하루 동안 약국 문을 닫고 방역을 시행한 뒤 4일 오후에 영업을 재개할 것을 요청했다.
A씨는 "확진자 방문 후 열흘이나 지났는데 방역 때문에 문을 닫는 게 의미가 있겠느냐"며 "대형마트나 백화점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다수 있었는데 책임 소재를 없애려는 행정편의주의적 조치인 것 같다"고 했다.
최근 대규모 인력과 장비를 동원해 실시하는 방역작업에도 실효성에 논란이 일고 있다. 확진자가 다녀가지 않은 건물 외벽, 도로, 광장 등에서 방역작업이 이뤄지는 등 보여주기 식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자외선에 약해 실외공간에서는 생존이 힘들고 주로 밀폐된 공간에서 감염 위험성이 올라간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기 때문이다.
방역업체 관계자는 "현재 방역약품이 부족해 소주 제조용 주정을 쓰는 업체가 있을 정도"라며 "실외 공간에 대한 방역은 전시효과 이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밀폐된 실내공간, 다중이용시설 계단 손잡이 등 감염 위험성이 높은 곳에 방역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피를 위해 보내는 안전안내문자도 잦은 발송으로 외면 받는 모습이다. 달서구 주민 B(30) 씨는 "최근 안전안내문자를 하루에 5통까지도 받았지만 매번 비슷한 내용이 반복되고 있다"며 "정작 시민들이 궁금해하는 내용은 없고 불안감과 피로감만 가중시켜 문자 알림 기능을 꺼놓기도 한다"고 했다.
이에 대해 대구시 관계자는 "경우에 따라 구·군 보건소 판단으로 확진자 동선에 대한 방역조치가 이뤄지는 부분이 있는데 확진자가 워낙 많아 동선 추적은 큰 의미가 없는 만큼 앞으로 현실화하겠다"며 "반복 발송은 예방수칙을 준수하는 게 그만큼 중요하다는 의미로 이해해 달라"고 해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