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완치자 수가 신규 확진자 수를 넘어서는 '골든 크로스'가 대구에서 며칠째 이어지고 있지만, '확진자가 다녀간 곳'이라는 낙인이 찍힌 업체들은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코로나19 확진자 동선을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에는 길게는 방문 한 달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업체명이 고스란히 노출돼 한 번 찍힌 낙인이 쉽사리 지워지지 않는 탓이다.
16일 오후 대구 중구에 있는 한 횟집. 가게 가까이 다가가자 스마트폰에 설치한 앱에서 '확진자 2월 13일 방문지역'이라는 경고 메시지가 울렸다. 확진자 방문위치 100m 내로 접근하면 알림을 전송하는 이 앱에는 업체명과 날짜가 고스란히 나와 있었다.
횟집은 점심시간임에도 테이블 곳곳이 비어 있었다. 이곳은 평소 점심·저녁시간이면 손님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유명 횟집이었다. 횟집 대표 A(41) 씨는 "속상하고 화도 난다"며 "보건소에서 연락이 온 뒤 방역 작업도 마쳤고 자가격리도 했는데 여전히 매출 회복 기미는 없다. 앱에서 정보가 삭제됐으면 좋겠다"고 했다.

식당뿐 아니라 다른 업종에도 낙인 효과는 강했다. 반월당네거리 인근에서 사진관을 운영하는 B(41) 씨는 "손님들이 '재수없다'며 피하는 것 같다"며 "사진관은 3월이 성수기인데 온종일 손님이 한 명도 안 오는 경우도 있다"고 했다. 이 사진관 또한 이달 초 확진자가 다녀갔다고 앱에 표시된 곳이다.
의료진은 확진자가 다녀간 곳이라고 해서 방문을 꺼릴 필요가 없다고 강조한다. 박재율 경북대 의과대학 총동창회장은 "확진자의 비말(침)이 특정 공간에 묻는다고 해도 바이러스가 긴 시간 생존할 수 없다"며 "지나치게 감염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다.
피해가 큰 만큼 앱의 정보를 제한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고석주 경북대 대학원 정보보호학과 교수는 "(업체명 공개는)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소지도 있는 만큼 방역당국이 특정 시점이 되면 비공개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고 했다.
이에 대해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연구위원은 "용인시처럼 지자체장이 확진자가 다녀간 곳을 찾아가 식사를 하는 것도 낙인 효과를 지우는 좋은 방법"이라며 "확진 업체를 '코로나19 클린존'으로 지정해 운영하고 신속하게 지원해 더 이상의 피해를 막아야 한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