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5 총선이 임박했다. 4월 14일은 총선 선거운동 기간 마지막 날이자, 총선 전날이다.
이날 총선 출마자들이 총력을 쏟는 막바지 선거운동 모습, 정치인들의 말, 투표 및 개표 준비 상황 등의 뉴스가 전해질 전망이다.
이런 모습은 2016년 4.13 총선을 하루 앞둔 4월 12일도 마찬가지였다.
▶2016년 4월 12일에는 총선을 하루 앞두고 청와대에서 국무회의가 열려 시선이 향했다. 박근혜 대통령이 총선 직전 국무회의에서 보수층 결집 의도가 담긴 발언을 했다는 언론 보도가 나왔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은 안보와 경제 동시 위기를 강조하면서 "북한이 언제 도발할지 모르고, 이대로 경제 시계가 멈춘다면 제2의 경제위기를 겪을 수 있다"며 "나라의 운명은 결국 국민이 정한다는 마음으로 빠짐없이 소중한 한표를 행사해달라"고 말했다.
마침 이번 4.15 총선을 하루 앞둔 14일에도 오전 10시 대통령 주재 국무회의가 예정돼 있다. 이 자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혹시 총선 관련 발언을 할 지, 이를 언론들은 어떻게 해석할 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선은 총선과 총선 사이에 있다. 즉, 총선이 끝나면 곧 대선 모드라는 얘기이다. 2016년 4.13 총선 때도 마찬가지였다.
총선 이후 관련 기사가 본격적으로 쏟아지긴 했지만, 총선 하루 전날에도 언론들은 대선을 주목했다. 차기 대권 주자를 가리키는 '잠룡'들을 언급한 것.
총선 결과에 따라 잠룡들의 입지도 갈리기 마련. 따라서 승패를 알 수 없는 총선 바로 전날까지는 꽤 많은 수의 잠룡이 언론 보도에 언급됐다.
2016년 4월 12일 여러 언론 보도에서는 안철수, 유승민, 김문수, 김부겸, 김무성, 오세훈, 박원순, 안희정, 반기문, 손학규, 김종인, 박영선, 송영길, 천정배, 정동영 등을 대선에 도전할만한 인물로 꼽았다.
총선을 거치며 저마다 흥망성쇠가 있었다.
안철수 당시 국민의당 공동대표는 서울 노원구병에 출마해 당선됐다. 자신이 재선에 성공한 것은 물론 당도 38석을 얻어 제3당이 되는 겹경사를 맞았다. 이게 그대로 안철수 대표를 대권 가도 한복판에 세우는 효과를 냈다. 안철수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 탄핵에 따라 원래 일정보다 7개월 앞서 치러진 19대 대선에 출마했다.
유승민 의원은 새누리당 공천 파동에 탈당 후 무소속으로 대구 동구을에 출마했고, 결국 당선돼 복당했다. 이후 바른정당 소속으로 19대 대선에 출마했다.
4년 전 총선 당시 대구 수성갑에서는 두 잠룡의 대결이 성사됐다. 새누리당 김문수 후보와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후보였다. 총선 전까지는 둘 다 잠룡으로 평가받았는데, 결국 김부겸 후보가 당선되면서 김문수 후보는 잠룡 수식을 잃었다. 중량감은 다를 수 있느나 구도는 비슷한 대결이 이번 4.15 총선 서울 종로구(이낙연 대 황교안), 대구 수성구갑(김부겸 대 주호영) 등에서 펼쳐져 눈길을 끈다.
당시 새누리당 대표였던 김무성 의원은 '참패'라는 수식이 붙은 총선 결과에 잠룡의 입지도 연동됐다. 이전 19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은 152석, 민주통합당(더불어민주당 전신)은 127석을 얻었다. 그런데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은 이전 대비 30석 잃은 셈인 122석, 더불어민주당은 123석을 차지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새누리당 소속으로 4년 전 서울 종로구에서 정세균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맞붙었다. 결과는 패배였고, 잠룡의 입지도 크게 줄어들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이번엔 미래통합당 후보가 돼 서울 광진구을에서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겨룬다.
이 밖에 4년 전 총선에 출마하지 않은 당시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 손학규 전 더불어민주당 상임고문 등의 경우, 그들의 측근이 총선에서 어떤 성적을 거두느냐가 곧 그들의 대권 입지와 연결된다는 분석 기사가 이어졌다.
이번엔 미래통합당 총괄선거대책위원장으로 나와 통합당 총선을 진두지휘하고 있지만, 4년 전엔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회 대표로 나서 역시 민주당 총선을 진두지휘했던 김종인 위원장에 대해서도 4년 전 총선 땐 잠룡 중 하나라는 수식이 붙었다. 그러나 이번엔 잠룡으로 꼽히지 않고 있다.
이외에도 4년 전과 달리 이젠 아무도 잠룡이라고 불러주지 않는 정치인이 제법 된다.
참고로 20대 대선은 이번 4.15 총선으로부터 1년 10개월여 뒤인 2022년 3월 9일 치러진다.
▶투표일에 투표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날씨, 정확히 말하면 봄비가 내릴지 여부에 대한 뉴스도 여럿 이어졌다. 2016년 4.13 총선을 하루 앞두고 투표일에 비가 내릴 것이라는 예보가 나왔다. 전날 저녁 남부 지방부터 비가 내리기 시작, 투표일 낮 전국으로 강우가 확대된다는 내용이었다.
이어 20대 총선 투표율은 58.0%로 집계됐다. 사전투표율 12.19%를 포함한 수치이다.
이번 21대 총선은 사전투표율이 2014년 지방선거부터 사전투표가 도입된 이래 역대 최고인 26.69%를 기록했다. 여기서 31.31%포인트만 초과해 더하면 20대 총선 투표율을 경신한다.
이번 21대 총선 투표일은 전국 대부분 지역이 맑거나 흐릴 것으로 예보됐다.
다만 앞서 치러진 모든 총선에는 적용되지 않았던 감염병 이슈, 즉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확산 상황이 투표율 하락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긴 했는데, 이 전망은 사전투표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힘을 잃은 상황이다.

▶따라서 4.15 총선은 비가 내릴 확률이 극히 적은데다 사전투표율도 직전 총선의 2배가 넘는 수준이라, 전체 투표율이 20대 총선을 무난히 뛰어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투표율에 대해서도 선거 직전이면 언론이 집중해 조명한다. 4년 전 총선 전날도 마찬가지였다.
우리나라 총선 투표율 기록은 1대 총선이 95.5%를 쓰며 출발했다. 이 기록은 아직 깨지지 않고 있는, 깨지기 매우 힘들어 보이는, 역대 최고 기록이다.
이어 투표율 90%대 기록은 3대(91.1%) 총선 이후 나온 적이 없다. 80%대 기록은 12대(84.6%) 총선 후 나오지 않고 있다. 70%대 기록은 14대(71.9%) 총선 이후 무소식이다. 이어 60%대 기록은 17대(60.6%) 총선 이후 작성되지 않고 있다. 심지어 그 다음 18대 총선에서는 역대 최저 기록인 46.1%가 나왔다.
이후 19대(54.2%) 총선과 20대(58.0%) 총선으로 이어지며 투표율이 다시 오르는 추세인데, 21대 총선에서는 가능성이 꽤 높아진 60%대 돌파는 물론, 70%대 돌파 내지는 80%대 돌파도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최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조사에서는 유권자 10명 중 7명이 "반드시 투표하겠다"고 응답했다.
다음은 역대 총선 투표율.
▷1대 95.5%
▷2대 91.9%
▷3대 91.1%
▷4대 87.8%
▷5대 84.3%
▷6대 72.1%
▷7대 76.1%
▷8대 73.2%
▷9대 71.4%
▷10대 77.1%
▷11대 77.7%
▷12대 84.6%
▷13대 75.8%
▷14대 71.9%
▷15대 63.9%
▷16대 57.2%
▷17대 60.6%
▷18대 46.1%
▷19대 54.2%
▷20대 58.0%

▶새로 당선될 국회의원들이 옷에 달 금배지도 2016년 4.13 총선 투표일 하루 전날인 4월 12일 공개됐다.
올해는 투표일 이틀 전인 4월 13일 공개됐다.
21대 국회 금배지는 20대 국회 금배지와 비교해 부착 방식이 좀 달라졌다. 원래 20대 국회에서는 남성 국회의원에겐 나사형, 여성 국회의원에겐 옷핀형 금배지를 줬는데, 21대 국회부터는 성별 구분 없이 자석형 배지를 배포한다.
디자인은 1대 국회부터 한자 '國'(나라 국) 또는 한글 '국'(5대·8대 국회)이 사용돼 오다 2014년부터는 '국회'를 쓴 것에서 변하지 않았다.
금배지는 국회의원 1인당 1개까지만 무료로 준다. 이후 추가로 원할 경우 돈을 받고 판매한다. 가격은 20대 국회 때와 같이 3만5천원. 금배지는 99% 은으로 만든 후 나머지를 공업용 급으로 도금해 제작한다.
배지(Badge)는 사실 외래어이다. 소속, 신분, 계급 등을 나타내는 표식을 뜻한다. 비슷한 의미의 단어를 국어사전에서 찾으면 휘장(徽章)이 나온다. 금으로 만들었거나 도금 등의 방식으로 금색을 띠는 배지를 가리키는, 골드 배지(Gold Badge)라는 용어가 외국에서 쓰이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금(金)이라는 한자어를 영단어 앞에 붙여 주로 국회의원 배지를 지칭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