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고강도 거리두기' 종료 이틀 남았다…이후 변화는?

대구시 "주말 생활방역 전환 여부 결정…각계 의견 수렴 중"

코로나19 확산세가 누그러진 가운데 16일 오후 대구 중구 동성로를 찾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코로나19 확산세가 누그러진 가운데 16일 오후 대구 중구 동성로를 찾는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정부가 이달 19일까지로 예정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 종료시점이 이틀여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오는 주말에 생활방역 전환 방안에 대한 발표를 할 전망이다.

17일 대구시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22일부터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하고 있다.

체육시설과 유흥시설, 학원·PC방 등 운영을 제한하는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는 당초 지난 5일까지 시행하기로 했지만, 2주간 기간을 늘려 오는 주말이면 종료된다. 이후 생활방역 단계로 돌입한다는 것이 정부의 당초 방침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생활방역을 해도 1∼2m 물리적 거리두기는 필요하다. 새로운 형태로 전환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간 정부는 지난 10일과 16일 1·2차 민·관 전문가가 참여하는 생활방역위원회를 열고 관련 의견을 수렴해 왔다. 아직까지 기간 연장 등 결론을 내리진 않았지만, 갑작스런 생활방역 전환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의견 등이 제시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생활방역으로 가면서 사회적 거리두기의 효과가 느슨해지는 것은 곤란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생활방역이 사회적 거리두기의 중단이나 배제로 오해받아서는 안 된다는 의견과 더불어, 생활방역을 이어가면서도 거리두기를 제대로 실천하려면 많은 준비와 합의를 해야 한다는 의견 등이 제시됐다.

김종연 대구시 감염병관리지원단 부단장이 대구시 정례브리핑에서 설명하고 있다. 매일신문DB
김종연 대구시 감염병관리지원단 부단장이 대구시 정례브리핑에서 설명하고 있다. 매일신문DB

대구시 역시 같은 날 정례브리핑에서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일상생활 중 생활 수칙을 실천할 수 있는 수준으로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종연 대구시 감염병관리지원단 부단장은 "생활방역에 대해서는 전문가들도 명확히 합의된 개념이 없다"며 " 특정 시점 이후 허용된 범위 안에서 일상생활을 하면서 코로나19를 예방할 수준의 생활수칙을 실천하는 합의점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도 마스크를 끼고 일상생활 할 수는 있다. 그러나 개학할 거냐 말 거냐, 식당에서 어떤 식으로 음식 먹을거냐 등 시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수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어떤 수준으로 (생활방역을) 할 지는 아직 명확히 합의된 바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령 식당에서도 함께 밥을 먹으면서 비말이 전파되지 않도록 대화를 자제하고, 최대한 개인 접시를 쓰도록 하는 등 생활 수칙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구시는 정부 요청 등에 따라 시민참여형 방역, 시민들이 수용 가능한 수준의 방역 수칙이 어느 정도 수준일지 각계각층의 의견을 모으고 있다. 급격한 생활 수칙 변화로 발생할 수 있는 혼란을 사회적 협의를 통해 막겠다는 방침이다.

대구시는 이와 관련해 다음주 중으로 회의를 열 예정이다. 시는 이 과정을 통해 각종 생활방역 수칙을 논의하고 단계별로 합의를 이끌어 낼 예정이다.

김 부단장은 "큰 원칙을 세우고 나면 그에 따라, 직장, 학원, 식당 등 여러 장소별 세부원칙을 세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