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격리해제 후 '재양성' 20대 최다…2차 감염 '불씨'될라

방역당국 "재양성 접촉자 2차 감염 사례 아직 없지만, 역학조사 예의 주시"
"확진자 퇴원 전 PCR검사와 항체 검사 병행해야 재양성률 낮출 수 있어" 의견도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이 젊은층에서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29일 새벽 대구 중구 로데오 거리가 젊은이들로 붐비고 있다. 다수의 청년들은 마스크를 제대로 쓰지 않았으며, 술집에 들어가기 위해 길게 줄지어 선 모습도 보였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캠페인이 젊은층에서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29일 새벽 대구 중구 로데오 거리가 젊은이들로 붐비고 있다. 다수의 청년들은 마스크를 제대로 쓰지 않았으며, 술집에 들어가기 위해 길게 줄지어 선 모습도 보였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격리해제 후 코로나19 재양성 사례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면서 이로 인한 2차 감염 전파 우려가 나오고 있다.

재양성자 가운데선 20대 비율이 높고 무증상자도 상당해 이들이 완전히 치료가 끝났다고 생각하고 지역사회를 누빌 경우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불씨'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19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날 기준 코로나19 확진자 중 격리해제 됐다가 다시 양성 반응이 확인된 사례는 모두 179건이다. 국내 격리해제 인원 8천42명 가운데 2.2% 수준이다.

연령별로는 20대가 41명(22.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 32명(17.9%), 30대 27명(15.1%), 40대 25명(14.0%) 순이었다. 지역별(18일 기준)로는 가장 많은 확진자가 나온 대구가 72명으로 재양성 사례도 많았다. 뒤이어 경북 56명이었다.

방역당국은 코로나19 재양성 환자가 2차 감염을 일으킨 사례는 아직 국내에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재양성 환자 접촉자에 대한 심층 역학조사가 진행 중인 단계라 아직은 단정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은경 방대본 본부장은 "재양성 접촉자는 바이러스 배양 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인된 사례가 아직 없었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아직 (재양성 환자가) 2차 감염을 유발한다, 안 한다고 단정적으로 말하기 어렵다"며 "모니터링을 해야 결론을 알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완치 후 격리해제 환자가 왜 재양성 판정을 받는지도 아직 명확하지 않다.

질병관리본부는 재양성자가 코로나19에 재감염됐다기 보다는 몸속에서 미처 다 제거되지 못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문제를 일으켰다는 데 무게를 두고 조사 중이다.

정 본부장은 "2차 감염 유발 양성률이 아직 생기지 않는 이유는 바이러스의 농도가 극히 낮거나, 남아 있는 죽은 바이러스들이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통해 확인되는 등의 이유이지 않을까 추정하고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확진자 치료 후 퇴원에 앞서 잔여 바이러스 검사와 함께 항체 검사도 병행해야 한다고 말한다.

송정흡 칠곡경북대병원 건강증진센터 교수는 "코로나19 확진 검사 시에는 상기도와 하기도 2곳에서 검체를 채취하지만, 퇴원을 앞두고는 상기도에서만 채취해 검사를 한다"면서 "회복기 환자는 가래가 적고 채취할 때 비말이 나올수 있다고 상기도만 검사하는데, 이 경우 잘못 채취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송 교수는 또 "PCR 검사와 함께 항체(IgM ab) 검사도 해서 바이러스는 없고, 항체는 있는 경우에만 격리해제를 하면 재양성률이 떨어질 것 같다"며 "역시 코로나 바이러스는 안 나오고 항체 역가가 낮을 경우엔 자가격리를 권유하면 될 것"이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