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통합당, 비대위 두고도 내홍…'전권 쥔 김종인'이냐 대안이냐

미래통합당 김종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16일 오전 국회에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관련 기자회견을 마치고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 김종인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이 16일 오전 국회에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관련 기자회견을 마치고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이 4·15 총선에서 참패를 겪고 대표 공백 상태를 맞았지만 당을 정상하는 방안을 두고 또 분란을 겪고 있다. 당장 최고위원회에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같은 수습책이 거론되지만 "툭하면 외부인이냐"는 반발과 "대안이 있느냐"는 의견이 대립하는 탓이다.

이번 총선에서 3선에 성공한 충청권의 김태흠 의원은 19일 김종인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당의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하려는 것에 대해 입장문을 내고 "외부인의 손에 맡겨서 성공한 전례가 없다"며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 "툭하면 외부인에게 당의 운명을 맡기는 정당에 무슨 미래가 있겠나"며 "나약하고 줏대 없는 정당에 국민이 믿음을 줄 수 있겠느냐"고 주장했다.

이는 최근 심재철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이 김 전 위원장을 만나 비대위원장직을 제안한 데 따른 것으로, 김 전 위원장도 '조건부 수락'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위원장은 '관리형 비대위'는 맡지 않겠다는 것이다. 그는 비대위 활동 기간을 최소 올 연말까지 보장할 것과 당 혁신에 관한 전권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상황에 부산의 장제원 의원은 "대안이 있는 것인가"라며 "내부에서 비대위원장을 한다면 누가 한다는 것이냐"고 반박했고, 총선에 불출마한 이주영 국회부의장도 이날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현재 의원들과 당선자들이 합동 의원총회를 열어 중론을 모아 (김 전 위원장을) 모시는 게 더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다른 쇄신론도 제기된다. 수습대책위를 세워 조기 전당대회를 치르자는 입장이다. 당선인들이 비대위원장 임명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여기에 황교안 전 대표의 사퇴로 공백 상태인 당 지도부를 복원하기 전 당선인 대회를 열어 당의 공식 '투톱' 중 한 명이자 총선에서 낙선해 '식물 원내대표'가 된 심 원내대표를 조속히 교체해 차기 원내대표가 키를 쥐고 가게 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통합당은 20일 오후 본회의 전 총선 이후 첫 의원총회를 연다. 이 자리에서는 참패의 원인과 새 지도체제 구성을 둘러싼 격론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통합당이 구심점을 잃은 상태고, 당선인들이 논의 후에 다른 대안을 제기하기도 어려운 터라 '김종인 비대위'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 경우 김 전 위원장 역시 선거 참패에 자유로울 수 없어 당 수습 과정에서 얼마나 추동력을 얻을지는 미지수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