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이 4·15 총선에서 참패를 겪고 대표 공백 상태를 맞았지만 당을 정상하는 방안을 두고 또 분란을 겪고 있다. 당장 최고위원회에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같은 수습책이 거론되지만 "툭하면 외부인이냐"는 반발과 "대안이 있느냐"는 의견이 대립하는 탓이다.
이번 총선에서 3선에 성공한 충청권의 김태흠 의원은 19일 김종인 전 총괄선거대책위원장을 당의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하려는 것에 대해 입장문을 내고 "외부인의 손에 맡겨서 성공한 전례가 없다"며 공개적으로 반대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 "툭하면 외부인에게 당의 운명을 맡기는 정당에 무슨 미래가 있겠나"며 "나약하고 줏대 없는 정당에 국민이 믿음을 줄 수 있겠느냐"고 주장했다.
이는 최근 심재철 원내대표 겸 당 대표 권한대행이 김 전 위원장을 만나 비대위원장직을 제안한 데 따른 것으로, 김 전 위원장도 '조건부 수락'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위원장은 '관리형 비대위'는 맡지 않겠다는 것이다. 그는 비대위 활동 기간을 최소 올 연말까지 보장할 것과 당 혁신에 관한 전권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상황에 부산의 장제원 의원은 "대안이 있는 것인가"라며 "내부에서 비대위원장을 한다면 누가 한다는 것이냐"고 반박했고, 총선에 불출마한 이주영 국회부의장도 이날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현재 의원들과 당선자들이 합동 의원총회를 열어 중론을 모아 (김 전 위원장을) 모시는 게 더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다른 쇄신론도 제기된다. 수습대책위를 세워 조기 전당대회를 치르자는 입장이다. 당선인들이 비대위원장 임명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여기에 황교안 전 대표의 사퇴로 공백 상태인 당 지도부를 복원하기 전 당선인 대회를 열어 당의 공식 '투톱' 중 한 명이자 총선에서 낙선해 '식물 원내대표'가 된 심 원내대표를 조속히 교체해 차기 원내대표가 키를 쥐고 가게 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통합당은 20일 오후 본회의 전 총선 이후 첫 의원총회를 연다. 이 자리에서는 참패의 원인과 새 지도체제 구성을 둘러싼 격론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통합당이 구심점을 잃은 상태고, 당선인들이 논의 후에 다른 대안을 제기하기도 어려운 터라 '김종인 비대위'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 경우 김 전 위원장 역시 선거 참패에 자유로울 수 없어 당 수습 과정에서 얼마나 추동력을 얻을지는 미지수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