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즈음 병이 많아 집구석에 누웠는데/ 邇來多病臥深齋(이래다병와심재)
무슨 일로 은근하게 짚신을 보냈는가/ 底事慇懃寄草鞋(저사은근기초혜)
틀림없이 그 산중에 봄빛이 한창이라/ 想得山中春正好(상득산중춘정호)
날 불러 꽃핀 여울을 함께 걷잔 뜻이렸다/ 定應招我踏花溪(정응초아답화계)
이 시를 지은 수암(遂菴) 권상하(1641~1721)는 율곡 이이에서 시작하여 우암 송시열로 이어지는 기호학파의 정통을 계승한 노론 계열의 학자다. 조선후기 험난했던 당쟁사의 한 복판을 관통했던 그가 한번은 큰 병이 들어 방콕 신세를 면하지 못하고 있었던 모양이다. 매사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분이었므로 온몸에 좀이 쑤셨을 게다. 그 때 산속에서 살고 있는 은자가 난데 없이 짚신 한 켤레를 보내왔다. 왜 하필 짚신을 보냈을까? 깊은 산중에는 이제사 봄이 한창이니, 이 짚신 신고 내달려와서 꽃핀 여울을 함께 걷자는 뜻임이 분명하다. 그러고 보면 은근한 정이 어린 가슴 뭉클한 선물이다. 수암은 아마도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그 짚신 신고 산으로 들입다 내달려가서 은자와 함께 하지 않았을까 싶다.
얼마 전 일면식도 없는 어느 여류시인이 난데없는 소포를 보내왔다. 고개를 갸우뚱하며 화들짝 뜯어보았더니, 나의 시선집 '웃지 말라니까 글쎄'의 간행을 축하한다는 정갈한 손 편지가 들어 있었다. 게다가 세상에, 좋은 시(?)를 읽고 가만히 있는 것은 도리가 아니라서 뭔 선물을 보냈단다. 그 선물 꾸러미를 화들짝 뜯어보았더니, 그 속엔 파카 만년필 한 자루와 새하얀 마스크들이 소복하게 쌓여 있었다.
그 분은 왜 나에게 파카 만년필을 보냈을까. 이 만년필로 더 좋은 시를 정성들여 써보라는 뜻일 게다. 그분은 왜 나에게 마스크를 소복하게 보냈을까? 말할 것도 없이 유달리도 대구에서 야단벅구통을 벌이고 있는 광란의 코로나 바이러스를 잘 견뎌내라는 뜻일 게다. 만년필 선물이야 그 전에도 더러 받아보았지만, 마스크 선물은 난생 처음이었다. 그 무렵 우리 아파트 정면에 딱 버티고 서 있는 달성대실요양병원과 제2미주정신병원에서 200명이 넘는 천문학적 확진자가 쏟아진 상황이라, 감회가 정말 남달랐다. 갑자기 가슴에 뜨거운 것이 울컥 솓구쳐서, 눈물을 왈칵 쏟으며 한동안 울산 쪽을 바라봤다.
이 봄이 다 가기 전에 그동안 줄곧 맞짱을 떠 왔던 코로나 바이러스도 끝장이 날 터. 이쯤 해서 산중에 사는 그 은자가 나에게도 짚신을 한 켤레 보내주면 좋겠다. 그 짚신 신고 냅다 내달려가 사라지는 봄의 뒷모습이라도 같이 좀 맛을 볼 수 있도록.
이종문 시조시인, 계명대 한문교육과 명예교수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