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여성가족재단은 18일 오후 대구 중구 콘서트하우스 대강당에서 '코로나19와 젠더'를 주제로 온라인 세미나를 열었다.
생활 속 거리두기를 실천하고자 유튜브를 통해 생중계한 이번 세미나는 코로나19가 여성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첫 세미나에 나선 김혜영 계명대 간호학과 교수는 '의료현장에서의 젠더 문제'를 주제로 간호사들이 코로나19 환자를 돌보며 겪었던 어려움을 강조했다.
김 교수는 "간호사는 의료 인력 가운데 환자와 가장 많은 시간을 접촉한다. 이 때문에 간호사 업무는 노동력이 집약적으로 투입되는 특성을 지닌다"며 "장시간 노동으로 인한 업무 과중, 식사 시간 미보장, 부당한 연차휴가 처리 등 코로나19 이전부터 있었던 간호 인력 노동에 대한 문제가 코로나19 사태에서도 극명하게 드러났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특히 코로나19 사태 때 언론 등에서 간호사의 희생적 역할을 지나치게 강조한 점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는 "간호사 업무의 전문성에 주목하기보다는 반창고 자국, 상처 난 손바닥 등 희생정신이나 사명감을 강조했고, 이를 미화시킨 측면이 있다"며 "코로나19 사태 때 우리 사회는 간호사를 영웅으로 만들었다. 하지만 정작 간호사들은 이런 관심이 실제 처우 개선으로는 이어지지 않았다고 여기고 있다"고 했다.
이에 김 교수는 실제 코로나19와 싸웠던 간호사들이 현재까지도 겪고 있는 고충을 언급했다.
김 교수는 "코로나19 환자를 돌봤던 간호사들이 정신적 피로감 및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를 이유로 '이제 중환자실 입구도 못 가겠다'거나 '더는 환자를 볼 수 없다'고 말한 경우가 있었다"며 "현장에서 감염 우려를 제기해도 즉시 개선되지 않는 등 일선 간호사들이 보호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제 2, 제 3의 코로나19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의료인에 대한 보상 체계 ▷응급 상황에서 인력을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인력 관리 시스템 ▷의료 조직 내 유연한 의사전달 체계 등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무엇보다 환자를 돌보며 위험을 감수했던 지역 의료진들에 대한 보상 체계 마련이 시급하다"며 "환자 일선을 지키기 위한 의료인들의 건강권 보장을 위한 조직적, 사회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백종원 갑질 비판하던 저격수의 갑질…허위 보도하고 나 몰라라
與 진성준 "집값 안 잡히면 '최후수단' 세금카드 검토"
'곳간 지기' 했던 추경호 "李대통령 배드뱅크 정책 21가지 문제점 있어"
채무탕감 대상 중 2천명이 외국인…채무액은 182억원 달해
李정부, TK 출신 4인방 요직 발탁…지역 현안 해결 기대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