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취수원 이전 대안으로 환경부 제안에 따라 추진하고 있는 '구미산단 폐수 무방류 시스템 구축' 관련 타당성 용역에서 폐기물(잔재물) 처리, 운영비 부담 등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이 어려워 사실상 '도입 불가' 방향으로 가닥이 잡힐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달 내 용역 결과 발표를 앞둔 가운데 환경부가 2018년 6월 '대구 수돗물 과불화화합물 검출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단기적인 대책을 성급히 내놨고, 2년여가 흘렀으나 해법은커녕 시간만 허비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민의 먹는 물 불안 해소를 위해 취수원 이전의 시급한 추진이 불가피해졌다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1일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구미산단 폐수 무방류 시스템 실용화 검증 및 적용 방안(이하 무방류시스템)' 타당성 용역에서 하·폐수 처리 시 나오는 농축수를 증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처리를 두고 난관에 부딪쳤다.
무방류가 되려면 슬러지 폐기물 처리 방법으로 '매립'이 거의 유일해서다.
전량매립한다고 가정했을 때 폐기물 양도 예상을 뛰어넘는 것으로 추산됐다.
결국 유해화학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값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환경적으로도 문제가 될 수 있는 '매립'을 감수해야 하는 상황이다.
즉 수계의 유해물질을 토양으로 그대로 옮기는 것(매립)과 다르지 않은 셈이다.
특히 구미 산단에 무방류 시스템을 구축하더라도 폐기물 매립지 확보와 구미시의 매립 수용 여부, 매립장 사용연한 등 예견된 문제가 한둘이 아니다.
또 지금까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논의하고 있는 무방류 시스템 '운영비' 부담 주체를 놓고도 여전히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환경부는 2018년 '과불화화합물 사태' 대안으로 무방류 시스템을 제시했다.
지역사회에서 취수원 이전 요구가 높아졌고,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무방류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한계가 분명하다는 비판이 제기됐음에도 불구하고 용역에 착수했으나, 결국 폐기물 처리와 비용 문제 모두 제대로 해결되기 어려운 실정인 것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날 매일신문과 통화에서 "소각, 재활용 등 여러 폐기물 처리 방안에 대해 분석팀에서 연구해봤지만 결론은 매립밖에 안 나왔다"며 "이를 고려해 무방류 시스템을 포함한 여러 대안도 복수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운영비 부담 문제에 대해선 "입장차가 있어 진전되지 않고 있다. 용역 종료 시점(이달 31일)까지 완전히 해결되긴 어려울 것 같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내편은 묻지마 사면, 니편은 묻지마 구속(?)'…정권 바뀐 씁쓸한 현실
'우리 꿈 빼앗겼다' 입시비리 조국 사면에 수험생·학부모·2030 분노 표출
김건희 구속·국힘 당사 압수수색…무자비한 특검 앞 무기력 野
유승준 "사면? 원치 않아…한국서 돈 벌고 싶은 생각도 없다"
김문수, 당사서 '무기한 농성' 돌입…"무도한 압수수색 규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