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결국 ‘박정희 파묘’ 주장, 文 대통령이 입장 밝히고 끝내야

정의당 배진교 원내대표(왼쪽)가 18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의당 배진교 원내대표(왼쪽)가 18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권(與圈)으로 분류되는 정의당이 박정희 전 대통령에 대한 파묘(破墓) 주장을 들고나왔다. 정의당 배진교 원내대표는 "안익태와 박정희, 백선엽은 모두 명백한 친일 행위가 확인된 반민족행위자들"이라며 이들에 대한 서훈 취소와 파묘를 주장했다. 여권 국회의원이 박 전 대통령 파묘 주장을 공식 제기했다는 점에서 간과할 수 없는 사안이다.

이 기류라면 "친일파 묘지를 국립묘지에서 파내서 옮겨야 한다"며 법 개정을 추진하는 더불어민주당에서도 조만간 박 전 대통령 파묘 주장이 나올 가능성이 농후하다. 이미 민주당 역사와정의특별위원회 위원장인 강창일 전 의원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민주 인사인데, 5·16 군사 쿠데타 주범들하고 같이 있다"며 "살아있는 사람도 이게 용납이 안 되는데, 죽은 사람도 용납이 안 될 것"이라고 했다. 좌파 진영은 '친일 인명 사전'을 기준으로 국립묘지에 안장된 60여 명을 문제 삼아 왔는데 이 논리대로라면 박정희·이승만 전 대통령 묘지도 파내야 할 대상이다.

두 전직 대통령에 대한 파묘 주장이 나오는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아무런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문 대통령은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였던 2015년 2월, 민주당 대선 후보였던 2017년 4월 두 번에 걸쳐 두 전직 대통령 묘소를 참배했다. 첫 참배 후 문 대통령은 "모든 역사가 대한민국입니다. 진정한 화해와 통합을 꿈꿉니다"란 글을 방명록에 남겼다. 또한 "두 분 대통령에 대해 과(過)를 비판하는 국민이 많지만, 공(功)을 긍정적으로 보는 사람도 많다"며 "이런 평가의 차이는 결국 역사가 해결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코로나 2차 대유행 위기, 부동산 폭등으로 국민이 고통받는 와중에 파묘 논란으로 국론 분열이 심각하다. 두 전직 대통령 묘소를 두 번이나 참배한 문 대통령이 명확한 입장을 밝혀 논란을 종결짓는 게 맞다. 문 대통령이 두 전직 대통령 묘소를 참배한 것은 이분들의 공과 과를 함께 인정하면서 불필요한 논란에 종지부를 찍자는 뜻 아니었던가. 파묘 논란에 대한 문 대통령 입장은 무엇인지 국민은 궁금하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