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학기 전면 등교를 준비하던 비수도권 학교에 다음 달 11일까지 등교 인원을 전체 학생의 3분의 2 수준으로 유지해달라고 시도 교육청에 강력히 권고했다.
교육부는 수도권의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에 따른 교육분야 후속조치를 논의하고자 19일 오전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주재로 시·도 교육감 영상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은 방침을 전달했다. 수도권 학교는 이미 강화된 등교 인원 기준이 적용됐다.
모두발언에서 유 부총리는 "8월 11일 이후 일주일 동안 발생한 확진 학생·교직원의 수가 전체 누적 확진자의 39%를 차지할 정도로 확산 속도가 무서운 상황"이라며 "학교 내 밀집도를 적어도 3분의 2 수준으로 낮추는 데 함께 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또 "지난 11일부터 17일까지, 일주일동안 전국에서 학생 65명, 교직원 9명 확진이 확인이 됐고, 전체 74명의 77%인 57명의 확진자가 서울과 경기에 집중됐다"며 "부산을 비롯한 여러 시도에도 17명이 발생했다"고 위험성을 강조했다.
정부가 수도권 방역 조치 강화에 따라 300인 이상 대형학원 등에 오는 30일까지 집합금지 명령을 한 것과 관련해 교육청과 지자체가 합동으로 점검단을 꾸려 대형학원의 운영 점검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와 별도로 방역과 학습·돌봄 점검에도 나선다.
우선 개학 사흘 전 자가진단 설문조사를 재개하고, 개학 후 1∼2주간 학교 단위 특별모니터링 기간을 둬 의심 증상이 나타나는 학생은 없는지 등을 점검하도록 하기로 했다.
자가진단은 9월부터 학생뿐 아니라 교직원까지 참여하도록 하고, 다문화 가정을 위해 5개 국어로 지원한다.
원격수업으로 학생 간 학력 격차가 벌어지지 않도록 온라인 자율학습 콘텐츠를 지원하고, 교육청 단위 학습종합클리닉센터 130곳에서 학생 1만2천700명의 학습을 도울 예정이다.
기초학력 지원을 위한 보충수업·상담을 위해 등교하는 경우는 밀집도 기준에서 제외한다.
이와 함께 각 학교가 학생들에게 안전한 돌봄서비스도 지원하도록 할 방침이다.
유 부총리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격상으로 교사, 학생, 학부모님들의 걱정과 우려가 크다는 점을 이해한다"며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이 교육 안전망을 더 촘촘히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