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최대 수혜 지역으로 꼽히는 경북 구미는 "구미공단이 재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며 크게 고무된 분위기다. 다만, 최종 부지선정이 공고되는 오는 28일부터가 본격적인 시작이라며 옷매무시를 다시 가다듬고 있다.
구자근 미래통합당 국회의원(구미갑)은 통합신공항 건설이 지역 경제도약의 청신호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구미국가산업단지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확신했다.
구 의원은 "구미공단 주요 수출품인 전자부품·모바일·첨단소재 등은 항공물류 이용 비중이 높기 때문에 기존 인천국제공항에 의존하던 항공운송을 통합신공항으로 대처할 경우 물류비용이 크게 절감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글로벌 기업이 입지한 대한민국 수출의 핵심으로 자리 잡으면서 수많은 해외 바이어들이 보다 쉽게 왕래해 글로벌 비즈니스 경쟁력이 높아지고, 이와 함께 구미국가5산단의 분양 활성화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김영식 통합당 국회의원(구미을)은 통합신공항을 '동아시아 물류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현재 물류의 개념이 달라지고 있다. 예를 들어 알리바바는 중국 남부 공항을 통해 해외로 수출한다"며 "대구경북 통합신공항은 이것을 가져올 수 있다. 동아시아 물류허브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지역에 물류창고를 만드는 등 새로운 개념의 신(新)물류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이전에 지어진 인천국제공항, 김해국제공항엔 없는 것"이라며 "통합신공항을 그냥 공항 하나 짓는 거라는 생각을 가지면 큰일난다"고 했다.
사업 추진과 관련, 구자근 의원은 "통합신공항은 공익적 목적이 큰 국가정책인 만큼 공공기관이 주체가 되어 수용 가능한 민간기관들과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 "그런데 정부에서는 수십조원이 투입되는 관련 SOC 예산 집행에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어 통합신공항 건설사업추진을 위한 의지가 있는지 우려스럽다"며 "저를 비롯한 대구경북 국회의원들은 성공적인 통합신공항 건설을 위해 후속 행정절차 이행과 국비 확보를 위해 온 힘을 모으겠다"고 다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