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경북형 뉴딜로 일자리 7만5천개 창출"

정부의 한국판 뉴딜에 대응…164개 과제 12조3천900억원 투자

경상북도가 '경북형 뉴딜 3+1 종합계획'을 통해 2025년까지 일자리 7만5천 개를 창출할 방침이다. 총 164개 과제에 12조3천900억원을 투입한다. 통합신공항 건설사업비까지 포함하면 35조4천억원에 육박하는 프로젝트다.

경북도는 정부의 한국판 뉴딜정책 기조에 맞춰 '경북형 뉴딜 3+1 종합계획'을 마련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디지털 뉴딜 ▷그린 뉴딜 ▷안전망 강화의 세 축과 통합신공항 건설로 구성됐다.

디지털 뉴딜은 5G·AI 등 관련 산업분야 경쟁력을 확보하는 계획이다. 비대면산업, 농·축·수산, 문화·관광영역에 디지털 역량을 더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든다. ▷5G 융합산업 클러스터(1천억원) ▷인공지능 스마트 리빙케어산업 육성(5천억원) 등 85개 과제(4조2천71억원 규모)를 추진한다.

그린 뉴딜은 미세먼지 문제, 기후변화 등에 대응하는 저탄소·친환경산업을 발굴·육성하고 녹색 생활환경 조성, 녹색 생태계 복원 등을 추진하는 그림이다. 에너지산업 융복합단지 조성(1조312억원), 수소연료전지 발전 클러스터(2천427억원) 등 46개 과제(7조3천13억원 규모)를 수행한다.

안전망 강화와 관련해선 33개 과제(8천816억원)를 진행한다. 경북형 희망일자리사업, 경북형 청년창업특구 조성, 고용안정 선제대응 패키지 지원사업 등을 통해 지역 고용안전망을 확보하겠다는 비전이다.

경북도는 통합신공항 역시 코로나19 이후 국가와 지역경제를 일으킬 대한민국 뉴딜의 대표 사업이라고 본다. 신공항 건설에만 9조2천700억원이 투입되고 연계 사회간접자본 구축 등에 13조7천356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창조적 아이디어와 과감하고 선도적인 정책이 지역의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며 "경북형 뉴딜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끌겠다"고 밝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