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가 코로나19 경제 위기 대응을 위해 올 한 해에만 네 차례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편성하면서 미래 세대가 짊어질 나랏빚 부담은 더욱 심각해졌다.
이미 국가채무 증가속도가 전례없는 수준으로 빠르게 늘어나고 있는 데다 앞으로도 상당 기간 더 악화할 것으로 예상돼 재정건전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14일 정부에 따르면 정부가 편성한 7조8천억원 규모의 4차 추경안 중 사실상 거의 대부분 재원을 적자국채 발행으로 조달해 나랏빚은 7조5천억원 더 상승한다.
이를 반영하면 올해 국가채무는 역대 최대인 846조9천억원, 내년 952조5천억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정부는 앞서 올해 세 차례 추경을 하면서 이미 36조8천억원의 적자국채를 발행했다.
올해 본예산 편성 기준 805조2천억원이었던 국가채무는 1차 추경 후 815조5천억원, 2차 추경 후 819조원, 3차 추경 후 839조4천억원까지 치솟았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비율 역시 본예산 때 39.8%에서 1차 추경 41.2%, 2차 41.4%, 3차 43.5%, 4차에서는 43.9%로 빠르게 올랐다.
암묵적인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40%를 1차 추경 때 진작 넘어선 데 이어 40%대 중반 턱밑까지 상승한 것이다.
현재 국가채무비율에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지출, 통일비용 등이 반영돼 있지 않아 이를 고려하면 더 크게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재정악화 속도가 너무 빠르다는 점이 문제다.
내년 국가채무는 애초 전망인 945조원에서 952조5천억원으로 크게 오르고, 국가채무비율은 47.1%로 상승해 50%를 앞둔다.
2022년에는 50.9%로 50%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2024년에는 58.3%로 60%까지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기획재정부 차관과 국무조정실장을 지낸 경제관료 출신 추경호 국민의힘 국회의원(대구 달성)은 "노무현 정부, 이명박 정부, 박근혜 정부 세 정부 기간의 국가채무비율 증가폭을 모두 합친 수준보다 빠른 증가 속도"라며 "굉장히 심각하고 위험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