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비례대표 의원발(發) 리스크에 당혹스런 분위기다. 제왕적 총재가 검증되지 않은 인물을 전국구 의원(옛 비례대표 명칭)에 내리꽂은 뒤 후유증을 겪던 시절에나 있을 법한 일들이 연달아 터져 나오는 탓이다.
첫 번째 당사자는 더불어시민당 소속 당선인 신분이었던 양정숙 의원(현 무소속)이다. 그는 지난 4월 부동산 명의신탁을 통한 탈세, 정수장학회 출신 모임 임원 경력 등이 드러나 논란을 불렀다. 의혹 해소는커녕 비난이 커지자 시민당은 21대 국회가 개원하기도 전인 4월 29일 양 의원을 제명했다. 시민당의 위성 모(母) 정당인 민주당은 "후보 검증 과정이 미흡했다"고 덩달아 고개를 숙였다.
그 바통을 김홍걸 의원이 이어받은 모양새다. 김대중 전 대통령 3남인 김 의원은 최근 부동산 매각과 부실 신고 등으로 도마 위에 올랐다. 3채인 서울 강남 아파트 중 1채를 처분했다고 했지만 차남에게 증여한 방식이라 비판을 샀다. 증여한 아파트 전세금을 올린 뒤엔 임대료 인상 제한 법안 발의에 참여해 논란을 일으켰다. 여기에다 총선 전 재산공개 때 10억원이 넘는 아파트 분양권을 누락, 4주택을 3주택으로 축소 신고한 사실이 뒤늦게 불거지면서 설상가상의 상황에 몰렸다.
윤미향 의원이 검찰 수사 끝에 기소된 것은 도덕적으로뿐 아니라 정치적으로도 커다란 악재다. 그는 사기·기부금품법 위반·업무상 횡령 등 총 8가지 혐의를 받고 있다. 당장 야권에선 불구속 기소를 비판하고 나섰다. 윤 의원은 정의기억연대 후원금 회계 누락 의혹 등으로 지난 5월 정국에 태풍을 불러 일으킨 바 있다.
당의 한 관계자는 "가지 많은 나무에 바람 잘 날 없지 않느냐"면서도 곤혹스런 모습을 감추지 못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