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집에 딱 맞는 사이즈, 쉬운 설치와 수리, 사진과는 다른 느낌의 색깔…'.
가전·가구를 살 때 주로 고려하는 이런 요소들 때문에 온라인 쇼핑의 득세 속에서도 소비자는 냉장고나 에어컨을 살 때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다.
지난달에는 긴 장마와 코로나19로 인한 '집콕' 쇼핑의 증가로 이런 경향이 흔들렸던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8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온라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1% 늘었다.
이번 조사는 백화점 3곳, 대형마트 3곳, 편의점 3곳, 기업형 슈퍼마켓(SSM) 4곳, 온라인 유통업체 13곳 등 모두 26개 업체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에어컨·선풍기 등 가전·전자(28.0%), 생활·가구(25.4%) 카테고리의 온라인 매출이 상승하며 전체 온라인 매출 증가를 견인했다.
유통업체 온라인 매출은 코로나19 사태가 본격화한 지난 2월 34.4% 급증(전년 대비)한 뒤 3~7월에는 13~16%대 신장을 기록하다가 8월 다시 급성장세를 보인 것이다.
전체 유통업체 매출 11조9천억원 중 온라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에 다가선 45.2%로 전년 같은 기간(40.1%)보다 크게 늘었다.
반면 지난달 백화점과 아웃렛 등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은 2.4% 떨어져 7개월 연속 감소했다. SSM(-7.6%), 백화점(-6.5%), 대형마트(-2.3%) 등이 모두 감소한 가운데 편의점(2.3%) 매출만 조금 늘었다.
8월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 감소에는 코로나19와 두 달 가까이 지속된 장마, 늦은 추석 등이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추석은 9월이어서 선물세트 매출이 8월에 반영됐으나 올해는 그렇지 못했던 것이다.
백화점 매출은 줄었지만 명품 매출은 7월 32.5%에 이어 8월에도 27.6%의 높은 성장세를 이어갔다.
산업부 관계자는 "긴 장마, 코로나19, 지난해보다 늦은 추석 등의 영향으로 8월 오프라인 유통업체 매출이 줄었다"며 "온라인 유통 매출은 실내 활동이 활발해지며 늘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