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계형 범죄가 주를 이루는 '상습강도·절도범'과 횡령 등 대규모 경제사범의 형량이 '유전무죄 무전유죄' 양상을 띈다는 지적이 나왔다.
8일 국회 교육위원회 이탄희 더불어민주당 의원(경기 용인시정)이 대법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재판에 넘겨진 상습강도·절도범 1천891명 가운데 91.6%(1천733명)가 실형을 선고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행유예가 선고된 경우는 한 건도 없었다.
이는 횡령·배임 등으로 이득액이 5억원 이상인 경우에 적용하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하 특경법) 위반 사건의 재판 결과와는 대조적이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특경법 위반 사범 1천676명 중 57%(959명)가 실형 선고를 받았고, 423명(25%)이 집행유예, 166명(10%)이 무죄 선고를 받았다.
한 예로 올 8월 서울고법은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차명계좌를 이용해 80억원대의 탈세에 관여한 혐의로 기소된 전 삼성그룹 임원에게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했다. 반면 올 초 고시원에서 달걀 18개를 훔쳐 수원지법에서 재판을 받고 있는 이른바 '코로나 장발장'에게는 지난 7월 검찰이 징역 1년 6개월을 구형하면서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한편 지난달 28일 이 의원은 ▷소득 비례 일수벌금제 도입 ▷월세 구속·전세 석방 방지 ▷구속 피의자 아동 보호 등을 골자로 한 이른바 '장발장 방지법'을 발의한 바 있다.
이 의원은 "상습절도 중 상당수는 '생계형'을 넘어 '생존'을 위한 경우가 많다"며 "빈곤, 범죄, 처벌이 무한 반복되는 회전문을 멈추기 위한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