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라임펀드 사건을 두고 "사기 사건이 아니라 검찰 게이트"라고 주장했다. 사기 혐의로 구속 기소된 라임의 전주(錢主)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강 전 수석에게 주라고 5천만원을 전달했다"는 법정 증언을 했을 때만 해도 강 전 수석은 김 전 회장을 '질 나쁜 사기꾼'이라며 신뢰할 수 없다고 했다. 하지만 김 전 회장이 옥중 서신을 통해 '야당·검찰 로비' 주장을 하자 강 전 수석 태도가 달라진 것이다.
자신에게 불리한 법정 증언에 강 전 수석은 신뢰할 수 없는 거짓으로 치부했다. 그러나 김 전 회장이 옥중 서신에서 야당 인사 및 현직 검사 로비 주장을 하자 '검찰 게이트'로 규정했다. 같은 사람의 법정 증언은 믿을 수 없다면서 옥중 서신은 신뢰하고 나선 것이다. 유불리에 따라 입장이 달라지는 자가당착(自家撞着)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강 전 수석은 또 "이번 사건은 권력형 게이트가 아니라 사기 사건을 정치권의 많은 사람과 연동하려 하는 검찰 게이트 아닌가 싶다"며 검찰 개혁을 좌초시키려는 것이라고 했다. 검찰 개혁을 들먹여 본질을 흐리려는 의도가 다분하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 역시 김 전 회장의 야당·검찰 로비 주장에 대해 "신빙성이 있다"는 발언을 쏟아냈다. 김 전 회장이 강 전 수석에게 5천만원을 건넸다는 증언을 했을 때 민주당은 "허위 주장"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성토했다. 강 전 수석 관련 증언은 거짓이라면서 야당·검찰에 불리한 옥중 서신에 대해서는 신빙성을 주장하는 것은 이중 잣대다.
위증죄를 무릅써야 하는 법정 증언과 옥중 서신은 비교가 안 된다. 위증으로 드러나면 처벌받을 수 있는 만큼 옥중 서신보다 법정 증언에 더 신뢰를 두기 마련이다. 야당은 김 전 회장 옥중 서신을 두고 기획됐거나 조작됐다는 주장을 하고 있다. 자신에게 불리하면 거짓으로 몰고, 유리하면 신빙성을 들먹이는 것은 또 하나의 내로남불이다. 특별검사를 통해 권력형 게이트 의혹, 검사 비리 및 야당 인사 로비 의혹 등 모두를 낱낱이 밝힐 수밖에 없다.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