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수성구(구청장 김대권)는 6일 범어도서관에서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위한 수미창조 포럼'을 열었다.
이날 포럼은 전문가, 관계 기관·단체 및 구청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 자연 감소와 수도권 유출에 따른 지방 인구 소멸 문제를 진단하고 대응 전략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김세나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역 인구 감소 대응을 위한 지자체의 역할'이란 주제로 포럼의 문을 열었다. 김 연구위원은 "수성구민이 대구 타 구·군에 비해 광역시 간 이동 성향이 가장 높다"며 "교육, 직업, 더 나은 주거 환경을 찾아 이동하려는 이들의 기대치에 맞는 정주 여건 개선이 무엇보다 시급하다"고 말했다.
대구 청년센터장을 맡고 있는 박상우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는 '내일이 있는 수성구-청년, 희망을 품다'라는 주제로 발제를 맡았다. 박 교수는 수도권 청년 유출의 가장 큰 원인은 지역의 일자리 부족 때문이지만, 지속적인 청년 정착을 위해서는 경제적 지원 정책과 더불어 지역사회에 대한 소속감과 자존감을 높이는 정책이 동시에 수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위원인 양난주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저출산 문제의 해결을 위한 노력은 여성 고용 지위 향상과 남성 돌봄 정책 강화에서부터 시작된다"며 "함께 돌보고 함께 일하는 사회 분위기 조성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김대권 수성구청장은 "청장년층 수도권 인구 집중화에 따른 지방인구 고령화 현상은 인구 소멸로 이어질 수 있는 중대한 문제"라며 "앞으로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수요자 중심의 세분화된 지원 정책을 통해 만족도 높은 생활 환경을 조성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