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큰 변동성을 보인 끝에 혼조세로 마감했다.
23일(현지 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거래일보다0.05%(15.66포인트) 상승한 3만1537.35에 거래를 마쳤다.
S&P500 지수는 전장보다 0.13%(4.87포인트) 오른 3881.37에 거래를 마감했다.
반면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0.5%(67.85포인트) 하락한 1만3465.20에 장을 끝냈다.
미국 국채금리 상승에 대한 부담이 커지면서 장 초반 주요 지수들이 크게 하락했으나,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완화적 통화정책 지속 의지를 강조하면서 장중 낙폭을 만회했다.
이날 상원 은행위원회 반기 통화정책 청문회에 출석한 파월 의장은 여전히 미국 경제의 회복세가 고르지 못하고 완수되려면 멀었다면서 연준이 정책을 변경하기까지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파월 의장은 물가가 우려할 수준까지 오를 것이라고 보지 않는다는 등 최근 부쩍 커진 인플레이션에 대한 불안감도 누그러뜨렸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이날 1.36%로 치솟아 지난 수주 동안 이어져온 급등세를 유지했다. 채권 금리가 오르면 투자자들이 주식으로부터 채권으로 자금을 이동시켜 주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국채금리 상승 부담으로 기술주들은 하락세를 보였다. 테슬라는 무려 13.4%나 큰 폭으로 하락했다가 2.19%로 낙폭을 줄여 마감했다.
애플은 0.11% 하락했고, 아마존은 0.43% 올랐다.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은 0.29% 상승한 반면 마이크로소프트(MS)는 0.53% 하락했다.
업종별로는 에너지가 1.61% 올랐고, 금융주는 0.5% 상승했습니다. 두 섹터는 최근의 상대적인 강세 흐름을 이어갔다. 반면 기술주는 0.25% 하락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