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아파트값 상승률 1.74%…비수도권 1위

"엑스코선 등 교통 호재 영향"
'월간 전국 주택가격 동향' 대구 2월 집값 비수도권 가운데 최고 상승

대구 수성구 아파트. 매일신문DB.
대구 수성구 아파트. 매일신문DB.

시도별 2월 종합주택 매매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
시도별 2월 종합주택 매매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

공급 확대를 골자로 하는 정부의 2·4 부동산대책 발표에도 대구 집값은 상승폭을 키운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손태락 원장)이 2일 공개한 '월간 전국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대구의 2월 집값은 비수도권 가운데 가장 많이 올랐다.

대구의 2월 주택 종합(아파트·연립·단독 등 포함) 매매가격은 1월보다 1.30% 상승했다. 경기도(1.63%)에 이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두 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대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2월 한 달간 1.74% 상승했다. 경기(2.30%), 인천(1.77%)에 이어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이 올랐다.

최근 4개월간 대구 아파트값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1.37%, 12월 2.12%에서 올해 1월 1.51%로 꺾였지만 2월 1.74%로 다시 상승폭을 키웠다.

이사철을 앞두고 아파트 전세값도 동반 상승했다. 대구의 2월 아파트 전세값 상승률은 1.32%로 세종(3.59%), 대전(1.71%), 울산(1.59%)에 이어 전국에서 네 번째로 높았다.

한국부동산원은 2월 대구 집값은 도시철도 엑스코선 건설 등 교통 호재가 있는 동·서구 위주로 올랐다고 설명했다. 또 전셋값은 학군 등 정주 여건이 좋은 수성·달서구 위주로 상승폭이 컸다고 분석했다.

지역 부동산 전문가들은 "수도권 공급 확대 위주의 2·4 대책이 대구에는 별 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며 "다만 3월 이후 지역 아파트 입주 물량 증가 등이 집값 안정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시도별 2월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
시도별 2월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지난달 대비 변동률 (한국부동산원 제공)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