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뉴욕증시, 4거래일만 반등…美 고용 양호에 금리도 차분

기술주 강세…투자자들 다시 사들이기 시작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입회장에서 한 트레이더가 장내 포스트에 앉아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입회장에서 한 트레이더가 장내 포스트에 앉아 업무를 처리하고 있다. 연합뉴스

뉴욕증시가 4거래일 만에 반등했다. 미국 고용지표가 양호했던 데다 국채 금리 상승도 제한되면서 주요 지수가 상승세로 돌아섰다.

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572.16포인트(1.85%) 상승한 31,496.30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73.47포인트(1.95%) 급등한 3,841.94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96.68포인트(1.55%) 오른 12,920.15에 장을 마감했다.

이번 주 들어 다우지수는 약 1.8%, S&P500 지수는 0.8%가량 상승했다. 반면 나스닥은 약 2.1% 내렸다.

양호한 고용 지표와 미 국채 금리 움직임 등에 시장은 반응했다.

미 노동부는 2월 비농업 부문 고용이 37만9천 명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이 집계한 시장 예상 21만 명 증가를 크게 웃돌았다. 지난 1월 고용도 4만9천 명 증가가 16만6천 명 증가로 상향 조정됐다.

실업률도 6.2%은 전월 6.3%에서 하락했다. 시장 예상 6.3%보다도 낮았다.

특히 코로나19 사태로 부진했었던 레저 및 접객 분야 고용이 35만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경제 재개 움직임이 일고 있는 것으로 보이다.

미 국채 금리 상승세는 제한됐던 점도 시장에 안도감을 제공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고용지표 발표 직후에는 1.62% 부근까지 순간적으로 오르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차츰 반락하며 1.5%대 중반으로 다시 내렸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에서는 금리 상승에 직접적으로 대응하지는 않을 것이란 발언이 이어졌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우리가 더 비둘기파적으로 될 필요성은 지금 맞지 않는다"며 "오퍼레이션 트위스트는 현재 옵션으로 보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전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도 채권 금리 상승 억제 의지를 명확하게 드러내지는 않은 바 있다.

주요 지수가 큰 폭으로 상승 마감했지만, 장중 변동성이 심했다.

특히 나스닥은 큰 폭의 매도세 속에 장중 한때 전 거래일 대비 2.5%이상 급락하기도 했다.

전문가들은 그간 기술주가 조정국면에 접어들면서 과매도 수준을 보였으나 이날 투자자들이 다시 매수하기 시작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이날 애플이 1%, 마이크로소프트(MS)가 2% 올랐다. 반면 테슬라는 3% 넘게 하락하며 이번 주에만 총 11% 하락폭을 기록했다.

업종별로는 전 업종이 오른 가운데, 기술주가 1.97% 반등했다. 에너지는 유가 급등에 힘입어 3.87% 올랐고, 산업주도 2.39% 상승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