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이 미국 뉴욕증시에 성공적으로 데뷔했다.
쿠팡은 'CPNG'란 종목명으로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된 첫날인 11일(현지시각) 공모가인 35달러에서 40.71% 급등한 49.25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거래량은 9천만주였다.
이날 쿠팡 주식의 시초가는 공모가에서 81.4%나 상승한 63.50달러였다.
장중 69.0달러까지 오르기도 했지만 이후 상승폭이 줄었고, 장 막판 50달러 선을 내줬다.
야후 파이넌스에 따르면 쿠팡의 시총은 종가 기준으로 886억5천만 달러(한화 약 100조4천억원)를 기록했다. 외국기업으로선 2014년 중국 알리바바 IPO 이래 최대 규모로, 이날 종가 기준 한국기업으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어 시총 3위에 올랐다.
쿠팡은 이번 기업공개(IPO)에서 45억5천만달러(약 5조1천678억원)를 조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쿠팡이 올해 뉴욕증시 IPO 중 최고 실적을 기록함에 따라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일본 소프트뱅크그룹은 상당한 투자이익을 거두게 됐다.
소프트뱅크 측은 2015년과 2018년에 모두 30억달러를 투자해 기업공개 후 클래스A 기준 지분 37%를 보유하게 된다.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이 1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NYSE) 앞에서 상장을 앞두고 포즈를 취하고 있다. NYSE에 이날 상장된 쿠팡 주식은 63.5달러에 거래를 시작했다. [NYSE 제공. DB 금지] 연합뉴스](https://www.imaeil.com/photos/2021/03/12/2021031207251519816_l.jpg)
이날 오전 9시 30분 김범석 쿠팡 이사회 의장은 직접 뉴욕증권거래소 내 발코니에 올라 개장 벨(opening bell)을 누르며 쿠팡 상장을 알렸다. 뉴욕증권거래소 건물 안팎엔 태극기와 성조기가 나란히 내걸렸고, CNBC 등은 쿠팡을 '한국의 아마존'으로 소개했다.
김 의장은 이날 장 마감 뒤 열린 화상 간담회에서 "쿠팡이 뉴욕증시에 상장한 가장 큰 이유는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대규모 자금 조달을 하기 위해서였다"며 "이번에 조달한 자본은 한국 지역경제에 계속 투자해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새벽배송 같은 기술 혁신에도 계속 투자하겠다"고 말했다.
또 쿠팡의 해외진출 가능성에 대해 "한국은 세계 10대 시장이 유일하게 미국 아마존과 중국 알리바바가 장악하지 않은 유일한 시장"이라며 "한국 시장 규모가 절대 작지 않으며, 투자자들도 그 점을 잘 알고 있다"며 당분간 한국 고객을 위한 혁신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