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이돌봄 보조금 빼돌린 기관…처벌 대신 '국무총리표창' 받았다

내부에서는 해당 대표의 또다른 비리의혹 제기

경상북도 아이돌봄 광역거점기관 대표이자 경주 동국대 교수인 A씨가 2008년부터 관련 사업을 잘 운영했다는 공로로 지난해 5월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제보자 제공
경상북도 아이돌봄 광역거점기관 대표이자 경주 동국대 교수인 A씨가 2008년부터 관련 사업을 잘 운영했다는 공로로 지난해 5월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제보자 제공

동국대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내 '경상북도 아이돌봄 광역거점기관'(이하 거점기관)이 보조금사업 운영과정에서 억대의 이득을 부당하게 챙겼다는 의혹(매일신문 9일 자 8면 보도)이 제기된 가운데 정부가 거점기관 대표에게 오히려 운영을 잘 했다며 상을 준 것으로 드러나 파장이 예상된다.

거점기관 대표이자 대학 교수 A씨는 지난해 5월 경북 23개 시·군 아이돌봄 지원사업(아이돌봄센터)을 운영하면서 양육 공백가정을 잘 지원했다며 국무총리 표창을 받았다.

특히 2019년 12월 1만원 상당의 아이돌보미 지원물품(앞치마)을 5만원으로 둔갑시켜 억대의 부당이득을 챙긴 사건이 터진 이후에 받은 상이어서 직원들조차 평가 과정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A씨를 포함한 거점기관은 상을 받은 4개월 뒤 압수수색을 받았고, 그 결과 교수와 함께 일하는 연구원의 남편이 앞치마 납품업체를 차려 억대의 부당이득을 챙긴 사실이 밝혀졌다. 현재 거점기관에서 일한 연구원 2명(계약해지)은 배임혐의 등으로 검찰에 송치됐지만 A씨는 여전히 대표직과 경주아이돌봄센터장, 교수 등을 유지하고 있다.

한편 내부에서는 아이돌보미 양성과정 교육비 처리 과정에도 문제가 있었다며 A씨에게 새로운 비위 의혹을 제기했다.

경북도와 학교 등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23개 시·군 아이돌봄센터는 아이돌보미 교육을 원하는 수강생에게 30만원을 받아 전문교육기관에 20만원을 주고 교육을 위탁한다. 나머지 10만원은 센터별로 6개월간 보관한 뒤 교육을 이수한 수강생이 활동할 경우 개인에게 지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엔 센터별 운영비로 사용한다.

문제는 경주아이돌봄센터장인 A씨가 이 돈의 운영을 연구원 이름의 계좌를 빌려 사용했다는 점이다. 센터 계좌로 입출금을 한 것이 아니라 차명계좌를 통해 국가보조금을 관리했다는 의미다. 내부 한 관계자는 "학교가 보조금사업 자금을 차명계좌를 통해 집행하면 한국연구재단에서 일정기간 해당인의 지위를 박탈하게 돼 있다. 그런데 동국대 경주캠퍼스에서는 이런 규정이 무의미했다"며 "10년 넘게 특정인(A씨)이 운영한 거점기관 내부의 문제를 이번 기회에 확실히 짚어야 한다"고 했다.

동국대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관계자는 "하루빨리 관련 사건이 결론나기를 바란다. 학교도 이런 비위에 엮여 구설에 오르는 것이 불편하다"고 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