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 감사 계획 윤곽…도청 신도시·통합신공항도 수상한 거래 살핀다

7년 전 보상 이뤄진 사업 중심, 경산·경주·칠곡 등 7곳 거론
공무원·공기업 직원 대상 조사…경북경찰청도 첩보 분석 수사

경북도청신도시
경북도청신도시

경상북도가 공직자 땅 투기 의혹과 관련, 감사 범위와 대상을 구체화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다. 경북경찰청도 각종 첩보 등을 분석하며 본격 수사를 준비하고 있다.

15일 경북도 등에 따르면 도 감사관실과 경북개발공사는 최근 협의를 통해 땅 투기 감사 대상 사업 윤곽을 특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관련 법상 공소시효 등을 고려해 7년 전 보상이 이뤄진 개발 사업부터 감사를 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럴 경우 ▷경산 임당역세권 도시개발사업 ▷경산1-1일반산업단지 ▷경주 동천지구 도시개발사업 ▷경산화장품특화지구 ▷청도 방지지구 농촌생활환경정비사업 ▷경산상림 재활산업특화단지 조성사업 ▷칠곡 중리지구 도시개발사업 등 7개 사업이 우선 거론된다.

2000년대 이후 가장 큰 사업으로 꼽히는 경북도청 신도시 조성사업과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이전사업도 감사 대상으로 검토되고 있다.

경북도는 도청신도시 사업은 상징성을 고려해 공소시효 여부와 무관하게 감사 진행을 고려하고 있으며 통합신공항 이전사업 역시 국방부와 대구시 사업이지만 부정한 토지거래 정황 등을 살펴보는 것을 검토 중이다.

해당 사업들의 인허가 과정에서 사전에 정보를 알 수 있는 부서 소속 도청 및 시군 공무원이 우선 감사 대상으로 꼽힌다. 경북개발공사 경우 전직원이 감사 대상으로 이름을 올릴 전망이다.

감사 계획이 확정되는 대로 이들에 대한 개인정보 이용동의서 수령이 이어질 전망이다.

감사 방식으로는 직원, 배우자, 직계존비속의 토지거래를 살피는 것과 동시에 감사 대상 사업 토지별 거래내역을 검토하는 것을 병행하는 게 유력하다.

10일 전담수사팀을 구성한 경북경찰청의 발걸음도 빨라지고 있다. 경찰은 그간의 언론보도, 각종 첩보 등을 분석해 부동산 시장 교란 행위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찰은 감사 대상이 아닌 지방의회 의원과 관련한 부정한 정황까지 범위를 확대해 사실관계 확인에 나선 것으로 전해졌다.

경북도 감사관실 및 경찰 관계자는 "부동산 투기는 은밀하게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면서 "공직자 등의 투기가 의심되는 경우 적극적인 제보와 신고를 해달라"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