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대 동산도서관이 지난 겨울방학 동안 환경개선 작업을 통해 쾌적한 열람실로 새롭게 탈바꿈해 학생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고전적인 독서실 형태의 열람실에서 벗어나 다양한 형태의 학습공간을 마련해 4차 산업혁명시대에 창의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몄다.
전반적으로 카페와 같은 편안한 분위기를 살렸으며, 일반 열람실도 기존의 좁은 좌석을 바꿔 넓은 개방형 좌석에서 쾌적하게 공부할 수 있도록 했다.
모바일 학습 존(Zone)에는 노트북으로 인터넷 강의를 들을 수 있는 노트북실과 협업과 토론 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코워킹스페이스 등을 마련했다. 또한 개인학습 존에는 캐럴(개인용 열람실)과 스터디룸을 마련해 개인 및 그룹 학습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2018년 지역 대학 최초로 도서관에 설치한 '아이디어 상상실(Idea-Maker Space)'도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이곳에는 3D프린터 및 스캐너, 소형공작기계, VR체험장비 등을 갖춰져 있어 학생들이 제작한 콘텐츠를 시장에 출시하기 전 미리 홍보하고 테스트하며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했다.
이종한 계명대 동산도서관장은 "더 이상 대학도서관은 책만 보고 시험공부만 하는 장소가 아니다"라며 "시대에 맞게 변화하고 앞서가야 한다. 학습방식이 디지털화하고 있고, 학생들이 엄숙한 분위기보다 자유로운 분위기에서 집중도를 더 발휘하는 만큼 학생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계명대 동산도서관은 '용비어천가'를 포함한 22종 99책의 국가문화재 보물을 소장하고 있다. 또한 2011년부터 동산도서관 자원공유 멘토링 사업을 통해 대구경북지역 학교, 기업체, 교회, 아파트 도서실 등 141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연인원 약 760명이 환경개선, 자료정리, 공간 재구성 등의 봉사활동을 해오고 있다.
특히 지역 초·중·고 도서관에서는 독후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지역사회의 공익적 역할을 충실히하며 1990년과 2015년 두 차례에 걸쳐 '한국도서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2020 책나래 서비스 우수 대학도서관', '2021년 고교-대학 연계 인문학 강화 독후감 공모전 주관기관'으로 선정되는 등 대학도서관으로서 지속적으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