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백프라자갤러리가 개관 50주년을 맞아 14일(수)부터 '대구 근대미술의 역사전'을 연다.
대백프라자갤러리는 1971년 대구백화점 본점(현 대구 동성로) 4층에 '대백갤러리'로 시작해 1993년 대백프라자 개점과 동시에 프라자점 10층 '대백프라자갤러리'로 이전했고, 현재는 12층에 330㎡ 규모의 전시장으로 운영 중이다.
이번 특별 기획전은 서양화 도입기 근대 서양화가들을 통해 대구미술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했던 주요 작가들의 작품 40여점을 한자리에서 조망할 수 있다. 또 일제강점기 우리나라를 찾았던 외국화가들의 눈에 비친 우리들의 모습을 판화에 담은 미국 판화가 릴리안 메이 밀러(여), 윌리 세일러와 프랑스 화가 폴 자쿨레의 판화 등 작품 13점도 함께 소개된다.
기획전의 주요 작가로는 일제강점기 대구를 대표했던 미술단체 '영과회'와 '향토회'에서 활동했던 서동진, 김용조, 이인성, 배명학, 최화수, 황술조, 서진달 등이 있다. 경북 칠곡 출신의 대표적 서사화가인 이쾌대와 경주 출신의 손일봉, 대구 향촌동에 살며 전시회를 가졌던 이중섭 및 대구미공보원 초대원장을 지낸 주경의 작품도 볼 수 있다.
특히 대구 서양화 도입기에 활발히 활동했던 서동진이 대구 근교의 풍광을 화폭에 담은 '풍경'과 같은 수채화를 통해서는 1920년대와 1930년대 화단의 분위기를 살펴볼 수 있다. 해방 이후 우리 정부가 주최했던 제1회 국전(1949년)에 추천작가로 출품했던 이쾌대의 '추과'(秋果)는 흰 테이블 위에 다양한 과일과 꽃의 조화로운 배치를 통해 안정된 공간감을 표출하고 있다.
이인성의 '정물'도 안정된 구도 속에 활짝 피어난 꽃들을 정성스럽게 표현해 놓았으며, 황술조의 대표작 '계림풍경'은 그가 동경미술학교 재학시절 고향으로 돌아와 제작한 작품으로 계림의 울창한 숲은 고스란히 담고 있다.
'대구 근대미술의 역사전'에서는 이외에도 대구 근대미술의 출발점이 된 대구미술전람회(1923년), 영과회, 향토회, 조선미전 관련 디지털 아카이브를 함께 전시, 1920년대와 1930년대 미구미술을 조명하는 소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전시는 25일(일)까지. 053)420-8015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