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서 주상복합아파트 건축이 봇물처럼 터지고 있다. 올해 들어서만 대구시와 각 구·군에 접수된 주상복합 사업승인 허가 신청만 23건 총 8천200여 가구나 된다는데 이를 정상적 현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다음 달 31일부로 대구 지역의 상업지구 내 주상복합건물 용적률이 기존 1천300%에서 400%대로 낮춰지기 전에 허가를 받아 놓자는 심리 때문이라는데, 부작용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중심상업지구에서의 고밀도 주상복합아파트 난립은 교통난을 부추길 수밖에 없다. 몇 미터도 안 떨어진 거리에 초고층 주상복합건물이 들어서면서 일조권과 조망권을 둘러싼 주민 갈등과 분쟁도 곳곳에서 속출하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대구시에 접수된 건축 민원이 폭증세인데 이 중 70~80%가 상업지구 내 주상복합으로 인한 분쟁이라고 하니 여간 심각한 문제가 아니다.
고밀도 주거시설이 들어서면서 단기간에 인구가 크게 유입돼 교육 환경이 악화되는 것 역시 빼놓을 수 없다. 한 예로 대구MBC 부지에 1천600가구 대단지 주상복합 신축이 추진되는 수성구 범어동 일대에서는 범어초등학교의 학급 수가 48개까지 늘어나는 문제로 진통을 겪고 있다. 범어초교 학급 과밀화도 문제지만, 이 일대 취학 아동들이 300m 거리에 있는 동천초교를 놔두고 1.2㎞ 떨어진 범어초교에 다녀야 하는 일이 생긴다며 주민들 반대도 크다고 한다.
대구의 유서 깊은 건물 혹은 랜드마크가 주상복합 신축으로 사라지는 것도 안타깝다. 지역에서는 대구적십자병원, 옛 대동은행, 홈플러스 전국 1호점(대구점), 동아백화점 본점 자리가 주상복합건물로 속속 대체되고 있다. 대구시와 각 구·군청은 이렇게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는 상업지구 내 주상복합 신축 러시에 대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있는지 의문이다. 접수된 사업 승인 신청에 대해 '허가 자판기' 역할을 해서는 안 될 일이다. 주상복합 신축에 따른 교통난, 학습권 침해, 일조권 분쟁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철저히 따져 가며 심사를 진행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