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4년을 관통하는 키워드로 '불공정' '내로남불'이 많이 꼽히고 있다. 전적으로 공감하면서 개인적으로는 '거지'를 키워드로 선정하고 싶다.
우선 나라 곳간이 거지꼴이 됐다. 국가채무가 문 정부가 출범한 2017년 660조 원에서 올해엔 965조 원으로 급증한다.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36%에서 48.2%로 뛴다. 2022년에는 국가채무 비율이 52.3%로 오른다. 다음 정부는 '나랏빚 1천조 원, 국가채무 비율 50%'로 출발한다. 정권의 포퓰리즘이 나라 곳간을 텅텅 비게 만들었다.
자신도 모르는 새 자산 격차가 벌어져 '벼락거지'가 된 사람들도 양산됐다. 문 정부가 올려 놓은 '미친 집값' 탓에 가만히 앉아서 벼락거지가 된 사람들이 숱하게 많다. 자산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인 '순자산 5분위 배율'은 지난해 166.64배로 2017년 99.65배에서 크게 뛰었다.
'백신거지'도 빼놓을 수 없다. 지난해 정부가 코로나 백신 전략의 첫 단추를 잘못 끼우는 바람에 백신 부족 국가가 됐다. 정부가 공언한 백신 도입 계획에 잇따라 차질이 빚어져 수급에 비상이 걸린 것은 국민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다른 나라들은 60%, 40% 넘게 접종해 마스크를 벗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인구 대비 1차 접종이 7%대에 불과하다. 대통령이 미국 대통령을 만나 백신을 구걸해야 할 신세가 됐다. 그런데도 대통령과 정부는 차질 없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다.
가장 심각한 문제는 국민 심성을 거지로 만든 것이다. 선거에서 이기려고 정권이 나랏돈을 국민에게 마구 퍼 줬다. 그 결과 국민 사이에 나라에 의존하는 거지 근성이 똬리를 틀었다.
작년 2월 문 대통령이 전통시장을 방문해 한 상인에게 "좀 어떠세요?"라고 물었다. 이에 반찬가게를 운영하는 한 아주머니가 대통령 면전에서 "(경기가) 거지 같아요. 너무 장사가 안 돼요"라고 했다. 문 정부 4년 동안 거지가 된 것은 경기뿐만이 아니다. 나라와 국민이 거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