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케미칼이 9일 서울 코엑스에서 막을 올린 '인터배터리 2021'에서 배터리 성능을 결정하는 소재 기술 경쟁력을 선보였다.
11일까지 진행되는 전시에서 배터리 소재인 양·음극재, 원료에서 소재 생산에 이르는 가치사슬(밸류체인), 차세대 연구개발(R&D) 로드맵, 그룹 친환경 모빌리티 통합 브랜드인 '이 오토포스' 등을 소개한다.
특히 전기차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한 고용량 하이니켈 NCM·NCMA(니켈·코발트·망간·알루미늄) 양극재, 배터리의 수명과 충전 속도 개선을 돕는 천연흑연·인조흑연·저팽창 음극재 등 차별화된 기술력을 강조한다. 이는 소재가 배터리의 용량, 수명, 충전속도 등을 결정하는 핵심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함이다.
포스코케미칼은 차세대 배터리 양·음극재 개발 현황도 공개했다.
양극재에서는 전기차 주행거리를 늘리기 위한 니켈 함량 증대 기술 등을 개발 중이며, 다양한 전기차 사양에 따라 맞춤형 소재를 빠르게 공급하기 위한 하이니켈 양극재 플랫폼 기술 개발도 추진하고 있다.
음극재에서는 저장 용량이 높은 실리콘 음극재, 전고체 배터리용 리튬메탈 음극재 등을 개발하고 있다.
전시관 동선은 사업흐름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순환형으로 구성했다. 리튬·니켈·흑연 원료 확보, 양·음극재 생산, 리사이클링에 이르는 가치사슬을 사업 흐름의 순서에 따라 관람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리튬이온 배터리의 작동 원리와 이를 움직이는 소재를 알기 쉽게 설명하는 대형 디스플레이 영상도 준비했다. 부스 면적은 전년의 89.1㎡에서 올해 222.75㎡로 2.5배 확대했으며 전시장 중앙에는 '이 오토포스' 제품을 적용한 친환경 차 모형을 전시했다.
포스코케미칼 민경준 대표이사는 개막식에서 "전기차 사용 확대로 주행거리와 안정성 등의 성능을 좌우하는 배터리 소재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며 "원료확보, 양산능력, R&D, 공정기술, 마케팅 등 모든 면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고, 글로벌 이차전지소재 탑플레이어로서 시장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했다.
인터배터리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전지산업협회와 코엑스가 주관하는 국내 최대 규모의 배터리 관련 전시회로 올해 9회를 맞았다. 포스코케미칼과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SK이노베이션 등 229개 기업이 참여해 역대 최대 규모인 500개 부스를 마련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