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단독]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내주 최대 분수령…14일 '정부 합동설명회'

환경부 장관, 시·도지사, 구미시장과 해평취수장 인근 주민 참석
12일엔 이용 찬성 단체 기자회견

경북 구미시 해평면 상공에서 바라본 낙동강과 해평 취수장 모습.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경북 구미시 해평면 상공에서 바라본 낙동강과 해평 취수장 모습.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환경부가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 등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방침과 영향 지역 상생 방안을 두고 주민들을 직접 만난다. 이 자리에는 환경부 장관을 비롯해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 구미시장 등도 참석한다. 행정 책임자들이 주민을 직접 만나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의 불가피성을 설명하고 일부 반대 시민들을 직접 설득하겠다는 의도로 읽힌다.

8일 대구시에 따르면 오는 14일 구미코컨벤션센터에서 한정애 환경부 장관, 권영진 대구시장, 이철우 경상북도지사, 장세용 구미시장 등과 해평취수장 영향 지역 주민들이 참석해 '영향 지역 합동설명회'를 개최한다.

영향 지역은 해평취수장으로 인해 직·간접적으로 규제를 받는 고아읍, 선산읍, 해평면, 도계면, 옥성면 등지다. 이날 합동설명회에는 영향 지역 주민을 포함해 구미 시민, 공동 이용 찬·반 단체 회원들도 참석한다.

낙동강유역물관리위가 지난달 24일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대책으로 대구가 구미 해평취수장(30만t)과 문산·매곡취수장 추가고도정수처리(28만8천t) 등 하루 57만t을 확보하도록 의결했다. 대신 취수원 다변화로 영향을 받는 지역 주민의 피해(규제 신설, 물 이용 장애)가 없어야 한다고 명시했다.

또 상생발전기금을 조성해 영향 지역에 지원하고, 영향 지역의 농·축산물을 우선 구매하는 등 주민들의 소득 증가를 지원하도록 했다. 국가 정책사업 등과 연계해 영향 지역 발전을 도모하기로 했다.

환경부 고위 관계자가 이런 내용을 설명하고 참석자들과 질의·응답도 계획돼 있다.

이날 공동 이용에 대한 찬성 및 반대 측 단체 회원들도 참석할 것으로 전해져 현장 분위기가 경직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환경부와 대구시·경북도, 구미시는 일부 주민들의 반대를 설득하겠지만 여의치 않을 경우 정면 돌파를 예고했다.

앞서 해평면 주민들로 구성된 '해평취수원 상생 주민협의회'는 12일 구미시청에서 지역 발전을 전제로 해평취수장 공동 이용을 찬성하는 기자회견을 한다고 밝혔다.

해평면 주민들은 일부 정치권 인사들이 해평면의 낙후를 고려하지 않고 자신들의 정치적 이해 탓에 공동 이용을 반대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