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확산한 지난해, 대구경북 중소기업 매출액 증가율이 전국 최하 수준을 기록했다. 매출이 큰 폭으로 줄면서 수익성과 채무 상환 능력도 두루 악화했다.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는 19일 '코로나19 이후 대구경북 기업의 경영성과 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처럼 밝혔다.
지난해 기준 전국 외부감사대상 비금융법인 2만4천810곳 가운데 대구경북 1천844곳(대구 791곳, 경북 1천53곳)의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률, 부채비율을 분석했다.
지난해 대구경북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은 -6.5%(대구 -9.2%, 경북 -4.9%)로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평균(-5.7%)을 밑돌았다.
업종별 매출액 증가율은 서비스업이 -2.0%로 지방 평균(-7.1%)을 웃돌았다. 음식숙박(-26.7%)·운수업(-16.5%) 등 대면서비스업 타격이 컸으나, 거래가 증가한 부동산업(8.4%)이 지표 상승을 이끌었다.
제조업은 지방 평균(-5.3%)을 밑도는 -7.3%로 나타나 전국 주요 경제권 중 최하 수준이었다. 1차금속(-13.9%), 섬유의복(-12.7%), 자동차·부품(-6.1%)의 타격이 컸다.
지난해 지역 기업의 영업이익률은 5.2%(대구 4.1%, 경북 5.8%)로 지방 평균(4.7%)을 웃돌았으나 전년(5.6%)보다는 0.4%p 하락했다.
제조업(3.9%)은 전자, 자동차·부품 업황이 양호한 영향으로 지방 평균(4.0%)과 비슷했다. 서비스업(6.6%)은 부동산업 호조에 지방 평균(6.4%)을 웃돌았다.
지난해 말 기준 지역 기업의 자기자본 대비 부채비율은 106.3%로 지방 평균(110.9%) 및 2019년(107.6%)보다 낮아 안정적이었다. 그러나 채무상환능력은 오히려 약화했다.
대구경북 기업의 지난해 이자보상비율은 279.3%로 지방 평균(293.3%)을 밑돌았다. 이자보상비율은 영업이익 대비 이자비용 비율로,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 지표다.
향후 코로나19가 재확산할 경우 대구 기업의 충격이 특히 클 전망이다.
지난해 대구경북 기업의 매출액 증가율을 바탕으로 '비관 상황'을 가정했을 때 올해 지역 기업의 이자보상비율은 전년보다 15.5%p 내린 263.8%까지 떨어질 것으로 관측됐다.
대구가 27.0%p 내린 154.9%, 경북이 6.7%p 내린 346.8%로 각각 전망돼 대구지역의 충격이 더 클 것으로 나타났다.
정나리 한국은행 대구경북본부 기획금융팀 조사역은 "최근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등 코로나19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 지역 기업의 타격이 코로나19에 따른 일시적 여건임을 감안해 시의적절한 자금지원으로 기업의 대규모 부실화를 막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